G05-7182802122

성남시, 탄천 화장실 응급 비상벨 설치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17-07-24 11:59 KRD7
#성남시 #탄천 화장실 #응급비상벨 #폭행소리 #비명구타

사업비 1100만원 투입해 탄천 성남구간 15.7km 23곳중 10곳 시범 설치

NSP통신-사물인터넷급 비상벨이 설치된 경기 성남시 탄천 정자 놀이장 화장실. (성남시)
사물인터넷급 비상벨이 설치된 경기 성남시 탄천 정자 놀이장 화장실. (성남시)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경기 성남시가 근린공원에 이어 탄천 공중화장실에도 응급 비상벨 설치에 나섰다.

시에 따르면 최근 공공장소에서 여성을 상대로 한 강력범죄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는 사업비 1100만원을 들여 탄천 성남구간(15.7㎞)에 있는 공중화장실 23곳 중 10곳(43%)에 사물인터넷(IOT)급 응급 비상벨을 최근에 시범 설치했다.

G03-9894841702

사물인터넷(IoT) 응급 비상벨은 비명, 폭행·구타 소리, 유리 파손음 등을 이상 음원으로 자동 감지해 관할 경찰서 112지령실과 가까운 분당·수정경찰서에 신고 처리한다.

버튼을 누를 수 없는 위급 상황일 때 경찰이 즉시 출동해 도와줄 수 있는 구조다. 화장실 밖 출입문 상단에는 빨간색 경광등이 사이렌과 함께 울려 주변에도 위급 상황을 알린다.

이상 음원 감지형 비상벨이 설치된 곳은 정자·구미·야탑·태평 물놀이장 등 이용자가 많은 공중화장실이며 안전한 화장실 팻말을 붙었다.

시는 비상 상황 때 경광등과 사이렌만 울리게 돼 있는 나머지 13곳 탄천 공중화장실도 내년도 3월 사물인터넷(IoT) 응급 비상벨로 모두 교체할 예정이다.

앞서 성남시는 지역 27개 근린공원(전체 33개) 안 43곳 여자화장실(전체 83곳의 52%)에 같은 형식의 이상 음원 감지형 응급 비상벨(2016년 8월~2017년2월 까지)을 설치했다.

또 나머지 6개 공원 안 40곳 여자화장실도 다음 달부터 점진적으로 비상벨을 설치한다.

NSP통신/NSP TV 김병관 기자, inspect1234k@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