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하연 기자 =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2040년까지 수소차 생산을 620만대(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로 확대하고 수소충전소는 1200개소를 마련할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 자동차 보급대수(2천만대)의 15%, 전국 주유소(1.2만개)의 10%를 수소경제로 치환할 계획이다.
문제는 수소차보다 수소충전소다. 정부의 보급 목표도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다.
수소충전소 1곳을 설치할 때 평균 30억원의 비용이 들어간다(정부 보조금 15억원 지원 중).
수소가격이 안정적이지 않고 시간당 충전횟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운영 손실도 크다.
민간 자본이 투입되기에는 아직 상업성이 떨어진다.
답보하고 있던 수소충전소 시장에 의미 있는 변화가 생겼다.
현대차가 서울에 수소충전소를 건립하기 위해 검토 중이다.
인프라 확대에 마중물 역할을 하기 위해 직접 투자라는 카드를 꺼냈다.
도심에 관련 인프라가 확대된다면 직간접적인 수소차 홍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수소차 또는 수소경제 사회가 가시화될 경우 폭 넓은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정용진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수소차로 한정할 경우 관련 핵심 기술을 보유한 현대차그룹의 수혜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다만 현대차의 경우 지난해 전체 판매량 459만대 중 수소차(넥쏘)의 비중은 0.02%(949대)에 불과하다”며 “비중이 커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예상했다.
본 정보(기사)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한 투자 참고용 자료로 NSP통신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NSP통신/NSP TV 김하연 기자, haaykim@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