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지난달 가계대출 5조3000억 폭등…지난해 10월 이후 최대폭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5-05-14 13:43 KRX5
#금융위원회 #가계대출 #주담대 #신용대출 #스트레스DSR
NSP통신- (표 = 금융위원회)
(표 = 금융위원회)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지난 1분기 신청한 대출이 본격 실행되고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지난달 가계대출이 5조 3000억원 큰 폭 늘었다.

14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4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전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5조 3000억원 증가해 전월(7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지난해 10월 6조 5000억원의 증가폭을 기록한 이후 최대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은 4조 8000억원 증가해 전월(3조 7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권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전월 2조 5000억원에서 4조 7000억원으로 확대됐으나 제2금융권은 전월 대비 증가폭이 소폭 줄었다.

G03-9894841702

기타대출은 5000억원 증가해 전월 -3000억원에서 5000억원 증가로 전환됐다. 신용대출이 전월 1조 2000억원 감소에서 1조 2000억원 증가로 전환된 영향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2~3월 증가한 주택거래 관련 대출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지난 4월 주담대 증가세 확대로 이어졌고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한 기타대출의 증가는 4월중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자금수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국 주택매매거래량은 지난 1월 3만 8000건에서 2월 5만 1000건, 3월 6만 7000건으로 증가했다. 수도권 주택매매거래량 역시 같은 기간 1만 8000건에서 2만 4000건, 3만 6000건으로 늘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지난 4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4조 8000억원 증가해 전월(1조 7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세부적으로는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폭이 1조 9000억원으로 전월(7000억원) 대비 확대됐다. 정책성대출도 증가폭이 1조 8000억원에서 1조 9000억원으로 확대됐다.

금융당국은 “3월에 비해 4월 가계대출이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연간 가계대출 관리목표 등을 감안하면 현재까지는 환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다만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 5월 가정의 달 자금 수요, 오는 7월에 시행 예정인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영향 등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