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김대원 기자 = 한국교통안전공단(정용식 이사장, 이하 TS)은 AI(인공지능) 대전환으로 경영 혁신에 나선다.
이를 위해 TS는 23일 정용식 이사장을 단장으로 하는 ‘AI 전략기획단’을 구성, 본격 가동해 ▲기획·경영 ▲안전·예방 ▲효율화·고객편의 등 3개 분과에서 AI 적용 가능성이 높은 핵심과제를 발굴한다.
세부적으로는 올해 AI 대전환을 위한 실행 전략을 구체화하여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고 ▲자동차검사 및 구조변경 ▲운수종사자 자격시험 ▲사업장 안전관리 분야에서 AI 기술을 적용한 업무 혁신과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을 추진한다.
아울러 TS는 AI와 디지털 기술, 빅데이터를 활용해 사고를 예측하고 예방하는 ‘AI 교통안전 혁신 전략’을 마련한다.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TS는 올해 8월부터 익산지방국토관리청 관할 국도 19개 노선(3506.8km)을 대상으로 교통사고 위험도 예측 및 예방 시스템 ‘K-Safer’를 가동하고 단계적으로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TS는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여 교통안전 선진국으로 도약하고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스마트 교통환경을 조성해 나간다는 목표다.
이에 앞서 TS는 지난해 국내 최초로 AI 영상분석 기술을 활용한 버스 운전자 안전관리로 운전자의 법규위반 등 위험 운전 행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경보음을 알려주는 교통사고예방 사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11월 정부혁신 왕중왕전 ‘디지털로 일하는 정부 분야’에서 행정안전부 장관상을 수상하며 사업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TS는 이를 바탕으로 ‘AI 활용 운전자 안전관리 사업’을 발전시켜 적용 대상을 단계적으로 사업용에서 비사업용까지 확대하고 자동차보험 할인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TS 정용식 이사장은 “AI 대전환으로 경영혁신에 앞장서겠다” 며 “국민 모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통사고 없는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