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NSP통신) 조이호 기자 = 김포시(시장 김병수)가 25일 한국전쟁 이후 70년 만에 김포여객터미널에서 대명항까지 물길을 열며 김포 바다의 시대를 다시 시작했다.
내륙도시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바다를 통한 새로운 미래로 확장하는 중요한 이정표다. 여객선이 염하를 지나 초지대교 아래를 통과한 항해는 이번이 처음이다.
시민 약 250명이 함께한 선상 항해는 김포의 역사적 정체성을 되살리고 해양관광도시로서의 비전을 직접 체감한 순간이었다.
이번 항해는 김포문화재단이 추진 중인 ‘2025 경기 바다관광 활성화 붐업 콘텐츠 사업’의 하나로 진행됐다. 시민, 관계자, 전문가 등 참여자들은 김포터미널을 출발해 대명항까지 이어지는 바다길을 따라 김포가 지녀온 해양의 가치와 미래를 바라봤다.

김병수 시장은 선상에서 “오늘 우리는 김포 바다의 물길을 다시 열었다. 김포는 더 이상 내륙 도시가 아니다. 이제 김포는 한강과 서해가 만나는 해양관문도시 바로 대한민국 서해의 첫 관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포 바다는 한강하구와 서해가 만나는 삶의 터전이며 교류와 성장 희망의 상징이다. 바다를 품은 김포는 해양관광과 예술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물결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선상 세미나에서는 김포 바다의 역사성을 짚는 전문가 발표도 이어졌다. 윤명철 동국대 명예교수는 “김포라는 이름은 신령스러운 포구를 뜻하는 검포(黔浦)에서 유래했다”며 “경기만은 한반도 최대의 만으로 정치 외교 무역 군사 모든 면에서 중요한 해양교통 결절점이다. 한반도에서 가장 훌륭한 해륙교통의 요지이자 동아지중해의 중핵”이라고 말했다.
정창희 재단법인한라문화재연구원장은 “김포는 대부분 지역이 한강과 서해 물길에 닿은 천연의 항구도시”라며 “선사시대부터 내륙수운의 중요한 기점이었고 조선시대 조운체계에서도 핵심 거점 역할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김포시는 이번 물길 개척 항해를 계기로 해양관광을 브랜드화하고 경기 서해안 관광 네트워크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해양산업의 새로운 가능성까지 열 수 있다는 기대도 높다.
한편 시는 시민이 바다를 더 가깝게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해양체험 프로그램과 항구 중심 관광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방침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