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실적
카카오뱅크 ‘상승’…자산건전성 ‘양호’·글로벌진출 ‘순항’(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올 1분기 카카오뱅크(323410)의 당기순이익은 1374억원으로 전년 대비 23.6% 증가했다. 고객 확대를 기반으로 수수료·플랫폼 수익이 증가함에 따라 비이자이익이 늘어난 영향이다. 또 포용금융 확대에도 연체율이 개선되며 양호한 자산건전성을 보였다.
7일 카카오뱅크는 올해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올 1분기 카카오뱅크는 당기순이익 1374억원을 거둬들였다. 전년 대비 23.6% 증가한 수준이다. 영업이익은 1830억원이다.
이같은 실적을 끌어올린 요인은 비이자수익의 증가다. 올 1분기 카카오뱅크의 여신이자 수익을 제외한 비이자수익은 2318억원으로 전년 대비 32.9% 증가했다. 전체 영업수익 중 차지하는 비중은 35.9%다.
카카오뱅크는 “고객 트래픽 확대와 수신성장을 바탕으로 수수료·플랫폼 비즈니스 확대와 투자금융자산 운용 등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균형잡힌 성장을 이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카카오뱅크 앱(App)에서 타 금융사의 신용대출을 비교·선택할 수 있는 ‘대출 비교 서비스’는 제휴사가 1년만에 2배 가량 증가한 60개 이상으로 확대됐다. 카카오뱅크 대출 비교 서비스를 통해 1분기 제휴 금융사의 대출을 실행한 금액은 1조 154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했다.
지급결제, 펌뱅킹·오픈뱅킹 수익 및 광고 비즈니스 등 수수료·플랫폼 비즈니스가 전반적으로 고르게 성장한 가운데 운용 부문에서도 효율적인 자산 배분 전략을 통해 1분기 투자금융자산 손익은 1648억원을 달성했다.
이와 함께 안정적인 가계대출 관리 기조도 이어갔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말 여신 잔액은 44조 3000억원으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전분기 대비 4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카카오뱅크는 1분기 6000억원 규모의 중·저신용 대출을 공급하며 포용금융 실천에 앞장섰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중·저신용 대출 잔액 비중은 32.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2.09%로 시장 금리 변화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0.06%p 하락했다.
포용금융 확대에도 건전성은 확보했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중·저신용 대출 잔액 비중은 32.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연체율은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1분기 연체율은 전분기 대비 0.01%p 개선된 0.51%를 기록하며 양호한 자산 건전성을 보였다. 카카오뱅크는 앞으로도 데이터 분석 기반의 신용리스크 정책과 신용평가모형 고도화를 통해 건전성 관리 노력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해외 진출도 순항 중이다. 전략적 지분 투자를 단행한 인도네시아 디지털은행 ‘슈퍼뱅크’는 공식 런칭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지난 1분기 기준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동남아 최대 슈퍼앱이자 IT 플랫폼인 그랩과의 강력한 제휴, 차별화된 상품 및 서비스를 기반으로 현재 32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향후 카카오뱅크의 아이디어가 담긴 서비스를 슈퍼뱅크와의 협력을 통해 인도네시아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카카오뱅크는 태국 금융지주사 SCBX(SCB X Public Company Limited)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지난해 9월 태국 중앙은행에 ‘가상은행(Virtual Bank)’ 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인가가 승인될 경우 카카오뱅크는 국내 금융사들의 진출이 드물었던 태국 시장에서 카카오뱅크의 디지털 금융 역량을 접목해 현지 금융산업의 혁신과 기술 발전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