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한덕수 무소속 대통령선거 예비후보가 1호 공약으로 ‘AI(인공지능)혁신전략부 신설’을 내놨다. 국가 전략의 중심축인 AI를 포함해 과학기술, 환경 등을 하나의 축으로 통합하는 전략이다.
7일 윤기찬 여러분의캠프 정책대변인은 서울 여의도 선거사무소에서 한 후보의 1호 공약을 발표했다. 윤 대변인은 “상징적인 제1호 공약으로 ‘AI혁신전략부’ 신설을 약속드린다”며 “과학기술·환경·AI를 하나의 전략 축으로 통합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현재 AI컨트롤 타워가 부재한 현실을 짚었다. 그는 “산업 패러다임이 디지털·데이터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느나 개발 시대 제조업 중심의 정책을 고수하면서 AI기반의 가치창출이 제약을 받고 있다”며 “과기정통부, 산업부, 중기부, 교육부, 개보위 등 각 부처의 AI이슈 선점 경쟁이 과열되면서 엇박자의 규제정책이 남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에 내건 ‘AI혁신전략부’는 R&D 예산에 대해 세부 예산사업 기획 및 추진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기재부가 R&D 예산지출 한도와 중기예산 계획을 수립하면 AI혁신전략부에서 한도 내에 전략적으로 세부 예산사업을 기획 및 추진하는 구조다.
또 국가과학자문기술회의를 ‘국가과학기술데이터위원회’로 확대개편해 AI혁신에 필요한 데이터의 활용부터 보호까지 총괄한다. 국가 AI정책연구소, 국가기술혁신전략원 등 씽크탱크를 보강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총체적 거버넌스 개혁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AI혁신전략부를 중심으로 AI 및 과학기술·산업혁신 총력전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2030년까지 GPU 등 첨단 AI 반도체 50만장 확보 등 AI 및 미래 게임체인저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AI 인재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선 1조원 규모의 우수 인재 육성기금을 조성하고 귀국 핵심인재에겐 아파트 특별 공급, 외국인재 특별 비자, 핵심인재 탈피오트(때체군복무) 등 파격적인 처우를 마련할 계획이다.
행정시스템 역시 개혁을 추진한다. 정부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통합 데이터·API 플랫폼 구축 및 부처 간 데이터 완전개방·연계를 통해 AI기반 행정 자동화 및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 제공을 약속했다. 특히 AI기반 공공혁신을 위해 공무원 AI리터러시 강화 및 AI행정대리인, AI공무원제도 등 파격적인 행정시스템 개혁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