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조현철 기자 = 수원시가 설계 VE(Value Engineering)로 2016년 한 해 동안 사업비 74억4700만원을 절감하는 성과를 거뒀다.
19개 분야 전문가 120명으로 구성된 수원시 기술자문위원회는 시에서 발주한 20억원 이상 건설 공사 17건에 대한 설계 VE를 시행해 전체 사업비의 7.31%(평균)를 절감했다.
설계 VE는 설계의 경제성·현장적용 타당성 등을 검토해 공사 품질을 높이고 불필요한 예산을 줄이는 것이다.
▲설계 경제성·타당성 면밀히 검토, 사업비 절감
‘원천리천 유역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공사’는 설계 VE로 전체 사업비의 20%(1억2100만원)를 줄여 가장 높은 절감률을 기록했고 ‘수원 동부 버스 공영차고지 조성(증축) 공사’(17.2%, 8억700만원), ‘월드컵 보조경기장 심판 훈련장 조성’(16.7%, 7억2300만원), ‘자원순환센터 관리동 건립 공사’(11.5%, 4억2600만원)도 10%이상 예산을 절약했다.
가장 많은 예산을 절감한 사업은 ‘수원시 하수슬러지(침전물) 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증설)’으로 8억5600만원(전체 예산의 7.5%)을 절약했다. ‘수원 동부 버스 공영차고지 조성 공사’(8억700만원), ‘수원시 하수관로 정비 공사 기본설계’(7억3100만원)가 뒤를 이었다.
시는 예산 100억원 이상 사업은 기본·실시설계 VE, 20억원 이상 사업은 실시설계(기본설계를 구체화한 설계) VE, 5억원 이상 20억원 미만 사업은 기술 자문을 시행하고 있다. 또 20억원 이상 공공 부분 건설공사는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기술자문은 ‘수인선 상부 공간 보행 입체시설 설치 공사’, ‘우만1동 주민센터 신축공사’, ‘광교산로 우회도로 개설 공사’ 등 28개 사업을 대상으로 이뤄졌고 위원회가 제시한 의견 848건 중 748건(91%)이 공사에 반영됐다.
공공부문 건설공사 현장 점검은 ‘수원역 환승센터 건립’, ‘영통2동 문화센터 신축’ 등 21개 사업장에서 진행됐으며 문제점 335건을 지적해, 정정 조치했다.
시는 건설현장 감독 담당자와 기술직 공무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을 세 차례에 걸쳐 열기도 했다.
▲공법 및 자재선정 심의위원회, 건설공사 시공평가 위원회 운영
시는 2017년, 설계 VE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AVET(Art Value Economic Technology, 예술적 가치와 경제성이 있는 기술)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시설물 외관뿐 아니라 내부 마감재, 조명 등 인테리어(실내 장식)에 대해서도 설계 VE를 시행해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예정이다.
또 1억원 이상 특허·신기술 공법과 5000만원 이상 자재를 합리적으로 선정하기 위한 ‘공법 및 자재선정 심의위원회’와 100억원 이상 건설공사의 시공 평가를 위한 ‘건설공사 시공평가 위원회’를 운영한다.
시 관계자는 “역량 강화교육을 확대해 현장 대리인, 감리자 등 사업장 관리를 담당하는 이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또 건설공사 현장 점검을 강화해 ‘안전사고 제로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NSP통신/NSP TV 조현철 기자, hc1004jo@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