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가계신용 그래프가 우상향하는 가운데 기울기는 완만해지고 있다.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 등의 영향으로 대출 증가폭이 축소된 영향이다.
다만 가계신용 증가세가 전분기 대비 축소됐지만 낮은 수준은 아니다. 올 3분기 가계신용 잔액이 1968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53조 7000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은 “가계부채에서 절대적인 금액증가폭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며 “GDP(국내총생산)대비 부채비율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 3분기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 3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4조 9000억원 증가했다. 가계신용은 금융기관 대출과 신용카드 결제금액 등을 포함한 금액이다.
가계신용 증가폭은 지난해 4분기 11조 3000억원에서 올해 1분기 2조 3000억원으로 줄어든 뒤 2분기 25조 1000억원으로 폭증했다. 이후 올 3분기 14조 9000억원으로 줄었다.
그중 가계대출은 전분기 대비 12조원 증가해 1845조원으로 집계됐다. 증가폭은 전분기 23조 6000억원에서 축소됐다.
한은은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14조 4000억원에서 11조 6000억원으로 줄어들었다”며 “가계대출 관리 방안(6·27)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축소됐으며 기타대출은 9조 20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신용대출이 감소전환하면서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6·27 대책에선 신용대출 한도를 차주별 연소득 이내로 제한했다.
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증가폭이 19조 3000억원에서 10조 1000억원으로 축소됐고 비은행예금취금기관도 증가폭이 3조원에서 2조원으로 감소됐다.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축소됐지만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주담대가 증가했다. 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은 감소 전환했다.
판매신용은 휴가철 신용카드 사용과 지방세(재산세) 납부 수요 증가 등으로 신용카드 이용규모가 늘면서 전분기 대비 3조원 늘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