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보니
티몬, 리오픈 결국 또 ‘무산’…소비자 불신·셀러 반감 ‘미해소’ 발목(서울=NSP통신) 옥한빈 기자 = 티몬 리오픈이 또 다시 무산됐다. 이번에는 무기한 잠정 연기로 오픈 시기를 알 수 없다. 모든 준비를 마쳤지만 이커머스의 주요 결제 수단인 ‘카드’에서 발목을 잡혔고 이면에는 ‘민심’이라는 거대한 벽을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에 관해 티몬 측과 티메프 사태 피해연대인 검은우산비상대책위원회·피해소비자연대 등과의 입장이 갈리고 있다.
일명 ‘티메프 사태’의 발생 후 각자 새로운 주인을 찾아 헤매던 중 티몬은 오아시스마켓을 만났다. 대기업은 아니지만 사회적 도리를 다하면서 본인들의 사업 확장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계획이었다. 티몬 피해자들은 총채권액 1조 2258억 원이라는 거금에서 약 0.76%인 102억 원을 받게 됐지만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결국 피해를 온전히 끌어안게 된 것은 피해 셀러, 소비자가 됐다. 이들은 법적 테두리에서 보호받지 못했고 사건의 원흉인 티몬의 전 경영진들은 구속을 피한 채 손해배상 476억 원을 내면 된다. 피해자들은 법원의 회생 결의안에 반대했지만 결국 강제인가 조치로 인해 티몬은 오아시스의 품으로 안겼다.
이에 관해 주정연 티메프 피해소비자 대표는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이제 티몬에 대한 신뢰도가 바닥이다”라며 “피해자들에 대한 구제 방안 등을 제시받지도 못했고 그들은 그저 법대로 합당하게 진행했을 뿐이라는 태도다”고 말했다.
또한 “사실 이번 인수의 배경은 입점 셀러와 소비자들의 개인정보 및 데이터베이스 확보 차원으로 보는 경우가 대다수다”라며 “실제로 기존에 입점했던 셀러들의 재입점 수도 말도 안 되게적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최근 ‘마이데이터 제도’로 대표되는 개인정보보호법이 더욱 중요시되는 상황 속, 기업들의 고객DB의 가치가 올라가는 상황이다. 이에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 또한 “유통이나 문화·여가 서비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단순 기록용이 아닌 기업의 자산이자 경쟁력이라고 볼 수 있다”며 “경쟁구도가 왜곡되기도 하고 정보 전달의 안전성에 대해서 크게 우려가 든다”고 말한 바 있다.
입점 셀러 피해자 대표인 검은우산비대위 신정권 대표는 “그들이 주장하는 입점 조건이 명목상은 매력적이지만 사실 다른 기업들의 행사가와 비교하면 비슷한 수준이다”라며 “오픈 자체는 판매채널 확보 등에 긍정적일 수 있겠으나 셀러들은 티몬에 대해 말 못 할 반감이 해소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온라인쇼핑동향을 발표에서 거래액이 전체적인 상승세를 그리는 가운데 과연 티몬이 민심에 막혀 지지부진한 상태로 쿠팡을 비롯한 기존의 대형 이커머스들과 경쟁이 가능할지도 지켜볼 만한 지점이다.
이에 대해 티몬 관계자는 “자금력이 되는 한도 내에서 진심을 다해 노력 중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티몬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마지막 점검을 하던 중 저희의 영업 재게 소식에 제휴 카드사, 관계 기관을 통해 피해자들께서 많은 민원이 집중 제기되면서 다시 부득이하게 오픈을 연기할 수밖에 없는 참담한 현실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이에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카드사들은 해당 사안에 대해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전혀 들은 바 또한 없고 티몬이 PG사와 합의해야 할 부분이다”고 반박했다.
한편 검은우산비대위 측은 아직 새로운 인수자를 찾지 못한 위메프에 대해 회생 기한을 늘려달라고 법원에 의견서를 제출한 상태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