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이창용 “고환율 원인은 ‘해외주식’…젊은이들 유행 걱정”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5-11-27 18:09 KRX2 R4
#국민연금 #이창용 #한국은행 #해외주식 #서학개미

이창용 “국민연금 투자 모호성 늘려야…제도개선 필요”

NSP통신-27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방향회의 직후 여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강수인 기자)
fullscreen
27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방향회의 직후 여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강수인 기자)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고환율의 원인에 대해 ‘해외주식 투자’를 콕 집어서 거론했다. 특히 젊은 세대의 해외주식 투자에 대해 “유행처럼 커지는 게 걱정이 된다”며 “위험 관리가 되고 있는지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27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통화정책방향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금 환율이 1500원 목전인 것은 한·미금리차 때문도 아니고 외국인에 의한 것도 아니다”라며 “단지 그냥 해외주식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젊은 분들이 해외투자를 하도 많이 해서 왜 하냐고 물어봤더니 ‘쿨해서’라고 답했다”며 “금융시장에서 환율 변동 등에 위험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걱정하고 있다. 지금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굉장히 유니크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G03-9894841702

이 총재는 “환율이 굉장히 높은 수준에서 오래 유지되면 해외투자하신 분들은 수익성이 높아서 좋겠지만 반면 물가가 많이 올라가고 우리 내부에서 저소득층에 대한 피해 등 상충관계가 많아진다”고 말했다.

또 최근 환율 방어에 국민연금을 동원할 수 있다는 보도 내용에 대해선 “해외로 돈을 많이 가지고 나가는 상황에서는 불가피하게 환율이 절하되는 영향을 주게 되고 가져올 때엔 절상 국면에 접어들게 된다”며 “당장의 환율도 문제이지만 국민들의 노후 자산을 보호하려면 어느 정도 환율로 이익을 보면 헤지를 해야 하고 수익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연금의 투자방향 패가 다 까진 상태라 해외투자자들이 너무나 잘 알기 때문에 환율 관리를 하기 굉장히 어렵다”며 “전략적 모호성을 늘려야 하며 이익이 나면 인센티브를 주는 등 제도 개선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현재 시중에 풀린 돈(M2)이 지난 9월 8.5%까지 오른 것에 대해 “유동성이 새로 풀린 것이 아니라 이미 굉장히 풀려있던 유동성이 중·장기 예금에 있다가 M2쪽으로 오는 구성 변화가 있는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M2에는 자산운용사의 수익증권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에 풀렸던 유동성이 다른 데 있다가 집을 사거나 주식투자를 하려고 이쪽으로 구성변화가 생기면서 M2가 증가한 면이 있다”며 “이 움직임에 따라 자산가격이 올랐다 내렸다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 상황을 고려할 때 기준금리는 중립금리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