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의성군, 2026년 본예산 8500억 원 편성...역대 최대 규모

NSP통신, 조인호 기자, 2025-11-18 18:27 KRX7 R1
#의성군 #김주수군수 #예산편성 #의성군의회 #인공지능

올해 대비 1300억 원 증가, 산불복구·재난대응 집중 투자

NSP통신-의성군은 2026년도 본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8500억 원으로 편성해 의성군의회에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사진 = 의성군)
fullscreen
의성군은 2026년도 본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8500억 원으로 편성해 의성군의회에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사진 = 의성군)

(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의성군(군수 김주수)은 2026년도 본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8500억 원으로 편성해 의성군의회에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2026년 본예산은 2025년 7200억 원 대비 1300억 원(18.1%) 증가한 8500억 원 규모며 이 중 일반회계는 1244억 원(18.6%) 증가한 7927억 원, 특별회계는 56억 원(10.9%) 증가한 573억 원이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본예산 증가율이 약 6%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으로 큰 확대로 2014년 본예산(4300억 원)과 비교하면 거의 두 배에 달한다.

군 단위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는 상당히 의미 있는 규모로 세입 기반이 취약한 농촌지역의 재정 여건을 보완하고자 국가공모사업과 국·도비 보조사업 확보에 전력을 다한 성과다.

G03-9894841702

군은 공격적이고 선제적인 국·도비 확보활동을 펼쳐 지난해보다 403억 원(16.2%)이 늘어난 2898억 원의 국·도비 사업을 확보했으며 세출예산의 전면 재검토를 통해 불요불급한 예산은 삭감하고 AI, 재난안전, 산불복구 등 미래·안전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등 ‘선택과 집중’의 방식으로 투자사업 우선순위에 입각해 예산을 편성했다.

분야별로는 농림해양수산분야는 전년 대비 126억 원이 증가한 1885억 원(22.2%)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사회복지분야 1870억 원(22.0%), 환경분야 926억 원(10.9%), 일반공공행정분야 555억 원(6.5%), 국토 및 지역개발분야 467억 원(5.5%) 순이다.

올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인 분야는 문화 및 관광분야(350억 원 증가)다. 이는 산불피해 복원사업인 ▲고운사·운람사 복원 160억 원과 지특회계 국비교부액을 전액 확보한 ▲성냥공장 문화재생사업 116억 원 사업비 반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국토 및 지역개발분야(202억 원 증가)도 큰 증가를 보이는데 △도동리행복둥지주택건립 40억 원 △다인면귀촌인주택건립 26억 원 등 주거기반조성 신규사업과 △재해예방 소하천정비 85억원을 비롯한 도로·용수시설 등 농업기반시설 정비에 다소 많은 예산을 투입한 결과다.

군은 올해 대형 산불의 피해 복구와 재해 예방을 위해 관련 예산을 집중 편성했다. △고운마을 임대주택 및 캠핑장 복구 25억 원 △단촌 구계1지구 마을단위 복구 25억 원 △산불피해 복구 조림사업 62억 원 △안계·단북·다인지구 가뭄대책사업 75억 원 △풍수해대응시스템 통합 및 고도화 17억 원 등을 투자하여 재난을 극복하고 예방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농업지원 분야를 보면 올해 처음 시행한 맞춤형 농자재 지원사업의 경우 기존에 자체 지원하던 농기계 보조사업도 통합하고 경영비 인상 등을 고려해 18억원이 증액된 80억 원(증29%)의 예산을 편성했다.

사과스마트농업기술 융복합 실증단지 조성에도 8억원을 투입해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과수거점APC 노후 시설을 개선하고 농협과 농업법인의 유통시설을 개선하는 사업에도 총 74억 원이 투입된다.

미래산업과 에너지 분야에도 많은 예산이 투입된다.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구축 41억 원 △바이오테크 산업화 허브센터 신축 42억 원 △바이오밸리 일반산업단지 조성(마무리) 38억 원 등을 편성해 미래 먹거리의 핵심인 바이오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금성·안계 LPG배관망 구축 96억 원 △구천·단밀·다인 LPG소형저장탱크 설치 26억 원 등을 반영해 지역의 에너지 비용 불균형을 해소하고 가스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2026년도 예산안은 제한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면서도 군민에게 꼭 필요한 분야에 더 많이 투자할 수 있도록 깊이 고민한 결과”라며 “군민의 재정수요에 귀 기울이며 미래를 준비하는 전략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6년 예산안은 의성군의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1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