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한·미간 관세협상이 타결된 가운데 정부가 철강 등 관세 피해 산업에 금융지원을 실시한다. 또 석유화학산업 사업재편에도 속도를 낸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연말까지가 골든타임”이라며 “뼈를 깎는 자구노력과 타당성 있는 사업재편은 정부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했다. 구 부총리는 “고율관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산업 고도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철강 등 관세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이미 발표된 이차보전사업, 긴급저리융자 신설 등에 더해 4000억원 규모의 수출공급망 강화보증도 추가로 신설해 총 5700억원의 금융지원을 공급한다. 
덤핑방지관세를 제3국·보세구역을 경유한 우회덤핑까지 확대부과해 불공정 저가 수입 철강재의 국내 유입도 최소화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특수탄소강 R&D 로드맵’을 연내 수립해 2030년까지 10개 특수탄소강에 2000억원의 대규모 R&D를 지원하고 수소 환원제철 실증 기술개발, 철강 특화 AI모델 개발 등을 통해 고부가·저탄소 전환에도 박차를 가한다.
 이와 함께 석유화학산업 사업재편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 구 부총리는 “일부 산단과 기업의 사업재편이 여전히 지지부진해 업계의 진정성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시장이 예의주시하고 있는 만큼 모든 산단과 업계가 속도전을 펼쳐달라”고 당부했다. 
 또 연말까지가 ‘골든타임’이라는 점도 강조하며 “업계가 이번 골든타임을 허비한다면 정부와 채권금융기관도 조력자로만 남기는 힘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뼈를 깎는 자구노력과 타당성 있는 사업재편은 정부도 적극 뒷받침할 것이며 먼저 사업재편을 추진하는 산단·기업에는 더 빠른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