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이복현, 저축은행 CEO 만남서 “고위험 대출 관리 만전 기해야” 강조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2-07-08 15:24 KRD7
#금융감독원 #저축은행 #부동산대출 #PF #대손충당금
NSP통신-왼쪽부터 허상철 KB저축은행 대표, 문정환 오성저축은행 대표, 김성도 모아저축은행 대표, 권종로 한투저축은행 대표, 김대웅 웰컴저축은행 대표,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이경희 금화저축은행 대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정길호 OK저축은행 대표, 정진문 SBI저축은행 대표, 정영석 유안타저축은행 대표, 박기권 진주저축은행 대표, 양순종 스타저축은행 대표, 이인섭 상상인저축은행 대표, 이정재 대명저축은행 대표,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왼쪽부터 허상철 KB저축은행 대표, 문정환 오성저축은행 대표, 김성도 모아저축은행 대표, 권종로 한투저축은행 대표, 김대웅 웰컴저축은행 대표,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이경희 금화저축은행 대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정길호 OK저축은행 대표, 정진문 SBI저축은행 대표, 정영석 유안타저축은행 대표, 박기권 진주저축은행 대표, 양순종 스타저축은행 대표, 이인섭 상상인저축은행 대표, 이정재 대명저축은행 대표,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저축은행 CEO들과 만난 자리에서 “다중채무자, 부동산 관련 금융 등 고위험 대출의 관리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8일 이 원장은 14개 저축은행 CEO와 간담회를 개최해 현재 경제·금융상황과 저축은행의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이 원장은 “최근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심화 및 통화긴축 가속화로 국제경제가 3고(물가·금리·환율)에 직면한 상황”이라며 “저축은행은 주고객층이 신용도와 소득수준이 열위에 있어 경제상황 악화 지속시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으므로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G03-9894841702

특히 이 원장은 “최근 3년간 저축은행 총자산이 연평균 20%나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BIS비율이 하락추세에 있다”며 “과도한 자산증가가 발생하지 않도록 경영계획을 재점검하고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에 따라 자본확충을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대출자산별 위험수준, 예상손실에 맞는 자체 적립기준을 마련해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수신금리가 대폭 높아진 것과 관련해 “수신확대 과정에서 퇴직연금 등 특정상품 예금이 크게 증가하고 만기집중 등이 발생하고 있다”며 “수신구조를 다변화하고 예외적인 유동성 경색 상황에 대비해 기존 비상 자금조달 계획도 점검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기업대출에서는 부동산 관련 업종의 대출쏠림 현상, PF대출의 사업리스크 확대를 우려하며 “업종별 한도관리를 강화하고 전체 PF사업장에 대한 사업성 평가 후 리스크에 상응하는 대손충당금을 적립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전체 PF대출을 대상으로 대손충당금이 적정하게 적립되고 있는지 중점 점검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근 KB저축은행 등 거액의 횡령사고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서는 “대출심사 및 자금용도외 유용 여부에 대한 점검을 강화해달라”며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 sink60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