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일일 금융동향

이주열 “돌발변수 없다면 내년 잠재성장률 수준 성장”외

NSP통신, 이정윤 기자, 2017-12-21 19:26 KRD7
#일일금융동향 #금융동향 #우리은행 #최종구 #이주열

(서울=NSP통신) 이정윤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북핵 같은 돌발변수가 없다면 내년에도 잠재성장률 수준의 경제성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금융혁신위원회가 발표한 권고안에 대해서 충분히 반영할 것임을 밝힌 반면 민간 금융사의 근로자추천이사제 도입 등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광구 전 우리은행장이 우리은행 신입 행원 채용 비리 의혹과 관련해 지난 20일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 소환조사를 받았다.

G03-9894841702

◆이주열 “돌발변수 없다면 내년 잠재성장률 수준 성장”= 이 총재는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 모두발언에서 내년 한국 경제에 대해 “글로벌 교역 호조를 바탕으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물가도 점진적으로 목표 수준인 2%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연초의 대통령 탄핵사태에 이은 북핵리스크 증대,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과 같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우리경제에 대한 우려가 컸다”며 한해를 돌아봤다.

앞서 중국의 관영 신화통신은 ‘2017년 화제국가 회고’ 기사에서 한국을 올해 15개 화제국가 중 하나로 선정한 바 있다. 신화통신은 한국이 정치환경 급변, 북핵리스크 등으로 험난한 한 해를 보낸 것으로 평가했다.

이 총재는 “우리경제는 이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3%대 성장률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무엇보다 글로벌 경기회복 흐름을 활용해 세계 주요 수출국 중 가장 높은 수출증가율을 달성한 우리 기업들의 노력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설명했다.

내년 한국 경제에 대해 이 총재는 “잠재성장률 수준의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물가도 목표 수준인 2%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최종구 “혁신위 권고안 반영하지만...근로자추천이사제 등 완급조절”= 최 위원장은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금융위원회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혁신위 권고안이 이 정도까지 나올 줄은 몰랐다”며 “읽어보고 고민이 많아졌다”고 토로했다.

그는 “혁신위는 자문기구로서 금융행정에서 과거의 잘못된 것을 혁신하자는 데에 방점을 두고 말한 것 같다”며 “정부로서는 실현가능성, 법적문제들을 고려해 반영해야하는 것이 책무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혁신위 권고안을 가급적 충실히 이행하려고 노력하되 한편으로는 시장에서 가질 수 있는 우려를 완화시키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의 이 같은 입장은 근로자추천이사제 도입, 삼성 차명계좌 과징금 부과, 은산분리 완화 등 문제에 대해 혁신위와 선을 긋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공공기관의 노동이사제 도입은 정부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따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민간 금융사의 근로자추천이사제는 도입에 앞서 노사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 최 위원장의 중론이다.

그는 “근로자추천이사제를 도입하고 있는 유럽의 경우를 보면 우리와 법체계가 달라 노사문화도 분명히 다르다”며 “노사현안는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큰 문제로써 도입에 앞서 노사문제에 대한 논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광구 전 우리은행장, 채용비리 관련 검찰 소환조사 받아= 서울북부지검에 따르면 이 전 행장은 지난해 신입사원 공채에서 국가정보원, 금감원, 은행 주요 고객, 은행 전·현직 고위 인사의 자녀와 친인척 등 16명을 특혜 채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서울북부지검 형사5부는 “우리은행 채용비리 의혹과 관련해 지난 20일 이 전 행장을 업무방해 혐의로 소환해 조사했다”고 밝혔다. 이 전 행장은 20일 오전 10시께부터 밤 10시30분께까지 12시간이 넘도록 강도 높은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검찰 조사 대상에는 당시 우리은행 인사담당 A 본부장과 B 부행장도 포함됐다.

검찰 관계자는 “채용비리 의혹에 연루된 인사들에 대해 광범위한 조사를 하고 있다”며 “상당 부분 수사의 진척이 있었지만 최종 마무리까지는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달 10일 경기 안성 우리은행 연수원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선 데 이어 지난달 28일에는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사와 서울 마포구 상암동 전산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NSP통신/NSP TV 이정윤 기자, nana101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