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전북대, 5·18 최초 희생자 이세종 열사 추모전 마련

NSP통신, 김광석 기자, 2025-05-12 19:47 KRX7
#전북대 #5·18 #이세종 열사 #민주화운동 #전북대박물관

5월 12~31일까지…유품 40여 점 전시, 민주화 운동 역사 되새겨

NSP통신- (이미지 = 전북대학교)
(이미지 = 전북대학교)

(전북=NSP통신) 김광석 기자 = ‘5·18 민주화운동’의 최초 희생자인 고(故) 이세종 열사의 삶을 기리는 추모전이 그의 모교인 전북대학교에서 열린다.

전북대학교 기록·역사관과 전북대박물관은 5월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당시 시대적 상황을 공유하기 위해 ‘故 이세종 열사 추모전’을 12일부터 31일까지 전북대박물관 1층 중앙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세종 열사의 고등학교 시절부터 대학생으로서의 모습, 그리고 1980년 5월의 참혹했던 현장을 담은 유품 40여 점이 공개된다.

G03-9894841702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학창 시절 이세종 열사의 사진과 수험표, 1980년대 민주화운동 관련 유인물 등이 전시돼 당시 젊은이의 일상과 시대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2부에서는 열사가 사망 당시 입고 있었던 피 묻은 의복과 교기, 면장갑 등을 통해 그날의 비극과 민주화운동의 상징적 의미를 전달한다.

3부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이후 이세종 열사를 기억하고자 했던 다양한 노력들을 담았다. 1994년과 1995년 졸업앨범과 이세종 광장 조성 과정, 추모비 건립 관련 서류 등을 통해 시대를 넘어 이어지는 추모의 발자취를 소개한다.

이세종 열사는 전북대 농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80년 5월 18일 새벽 1시, 제1학생회관에서 농성을 벌이다 진입한 7공수 부대원들에게 쫓겨 옥상으로 올라간 뒤 추락해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됐다. 불의에 맞서 싸우다 숨을 거둔 그는 5·18 민주화운동의 최초 희생자로 기록되며, 이후 전국적 항쟁의 도화선이 된 상징적 인물로 역사에 남았다.

이정환 전북대 기록·역사관장은 “이 전시는 단순한 과거의 회고를 넘어, 민주주의를 위한 희생과 용기의 의미를 오늘의 세대와 공유하기 위한 자리”라며 “많은 이들이 찾아와 민주주의의 뿌리를 다시금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