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김문수, 드디어 진검승부 공약 발표…기업·AI·청년 등 ‘10대 공약’

NSP통신, 옥한빈 기자, 2025-05-12 18:01 KRX5
#국민의힘 #김문수 #제21대대선 #6.3대선 #대통령선거
NSP통신-김문수 후보가 가락시장에서 상인들과 교감하고 있다 (사진 = 김문수 캠프)
김문수 후보가 가락시장에서 상인들과 교감하고 있다 (사진 = 김문수 캠프)

(서울=NSP통신) 옥한빈 기자 = 김문수 국민의 힘 대선후보가 기호 ‘2번’을 달고 ‘10대 공약’을 발표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단일화 논란, 후보 등록 이슈 등의 일은 뒤로하고 대의를 앞두고 힘을 합해 중앙선대위를 꾸린 뒤 본격적인 대선 활동에 나서는 모습이다.

김 후보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10대 공약은 다음과 같다. ▲제1호 자유주도성장, 기업하기 좋은나라 ▲제2호 AI·에너지 3대 강국 도약 ▲제3호 청년이 크는 나라, 미래가 열리는 대한민국 ▲제4호 GTX로 연결되는 나라, 함께 크는 대한민국 ▲제5호 중산층 자산증식, 기회의 나라 ▲제6호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나라, 안심되는 평생복지 ▲제7호 소상공인, 민생이 살아나는 서민경제 ▲제8호 재난에 강한 나라, 국민을 지키는 대한민국 ▲제9호 특권을 끊는 정부, 신뢰를 세우는 나라 ▲제10호 북핵을 이기는 힘, 튼튼한 국가안보

김 후보는 이날 새벽 5시부터 서울 가락시장을 방문해 선거 유세에 나섰다. 주요 메시지는 ‘시장 대통령, 민생 대통령, 경제 대통령이 되겠다’ 말이었다. 이후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중앙선대위를 발족한 뒤 대전과 대구를 돌며 선거 유세 활동에 나섰다.

NSP통신- (표 = 옥한빈 기자)
(표 = 옥한빈 기자)

제1호 공약은 재정‧경제‧복지 등의 분야로 ‘세계 최고 수준의 투자 환경 조성’을 목표로 자유경제혁신 기본법을 제정, 기업투자 인센티브 확대, 노사합의를 기반으로 주52시간제 근로시간 개선 등을 통해 이루겠다고 밝혔다.

G03-9894841702

제2호 공약은 과학기술‧정보통신 등의 분야로 ‘과학기술인이 존중받는 나라로 초격차 기술 혁신’ 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AI 청년 인재 20만명 양성, AI 유니콘 기업 지원, 가치 있는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등을 약속했다.

제3호 공약은 교육‧인적자원 등의 분야로 ‘청년 취업, 주거, 교육, 결혼, 양육 부담 완화로 청년을 위한 기회 창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각종 연금개혁위원회에 청년세대 참여 확대 보장, AI 청년 스타트업 빌리지 전국에 조성, 신생아 특례대출, 생애 최초 대출 요건 완화 등을 하겠다고 한다.

제4호 공약은 산업자원‧건설교통 등의 분야로 ‘GTX를 수도권에서 전국 5대 광역권으로 확장하여 국토 균형발전 촉진’을 목표로 수도권 GTX 모델을 전국 5대 광역권으로 확장하여 ‘전국급행철도망’ 구축, 교육‧의료 인프라 확충을 통해 계속 거주할 수 있는 여건 마련, 기존 특구제도 통‧폐합 후 지자체 기획에 기반한 성장엔진 메가프리존 도입 등의 방법을 강구했다.

제5호 공약은 재정‧경제‧복지 등의 분야로 ‘중산층 비율을 늘리고, 소득과 자산을 증가시켜 생활 수준 향상’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종합소득세 물가연동제 도입, 장기주식보유자 또는 펀드에 세제 혜택, 부부간 상속세는 폐지 등을 내놨다.

제6호 공약은 재정‧경제‧복지 등의 분야로 ‘가족 친화 생애 맞춤형 복지로 안심되는 평생 복지 구현’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결혼하면 3년·첫째아이 3년·둘째도 3년·총 9년 청년주택 주거비 지원, 난임생식세포 동결‧보존 건강보험 급여항목 포함, 0~17세 ‘우리 아이 첫 걸음계좌’ 신설 등을 약속했다.

제7호 공약은 재정‧경제‧복지 분야로 ‘지속가능한 소상공인 경제 생태계 실현’ 등을 목표로 잡았다. 이를 위해 대통령 직속으로 가칭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단’ 설치, 소상공인 응급 지원 3대 패키지 시행, 서민·소상공인 금융 지원 확대 등을 한다고 한다.

제8호 공약은 보건의료‧환경 등의 분야로 ‘복합·대형화되는 재난에 대응력을 강화하고 사전대비 중심으로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재난 대응 통합시스템으로 재난 유형별 관리 강화, 닥터 헬기, 소방 헬기 등 재난대응 장비 확충, 국토부·농식품부·산업부·해수부 등 관련 부처와 기후재난 통합조정권 기능조정 등의 방법을 강구했다.

제9호 공약은 정치‧행정‧사법 등의 분야로 ‘정치·사법·선거관리 제도의 개혁을 통해 국민 신뢰 회복’가 주 목표다. 이를 위해 전 부처·17개 시도·주요 공공기관 등에 감사원 소속 감사관 파견,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폐지, 선관위 감사원 감사허용 등을 내놨다.

제10호 공약은 국방‧통일‧외교통상 등의 분야로 ‘북핵 억제력 강화로 국민이 안심하는 국방 구현’를 위해 한미동맹 기반 핵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 핵 잠재력 강화, 화이트 해커 1만명 양성으로 사이버전 역량 강화 등을 약속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