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서산시,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 시설' 오염물짐 저감

NSP통신, 이광용 기자, 2020-10-05 11:52 KRD7
#서산시 #맹정호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 #오염물질
NSP통신-▲서산시가 운영하는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 시설이 주목받고 있다. (서산시)
▲서산시가 운영하는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 시설이 주목받고 있다. (서산시)

(충남=NSP통신) 이광용 기자 = 서산시(시장 맹정호)가 지난달 준공한 ‘서산시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 시설’이 타 지자체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이 시설은 시가 환경부 시범사업에 공모 신청해 지난 2016년 유기성폐자원 통합처리 시범사업으로 선정된 후 국고를 지원받아 설치 진행된 것으로 총사업비는 470억원 규모이다.

환경관리공단에서 시행하고 금호건설이 대표사로 시공에 참여해 지난 2017년 12월 착공해 34개월에 걸쳐 진행됐으며 향후 3년간 금호건설에서 운영 후 서산시로 이전한다.

G03-9894841702

이 시설은 1일 가축분뇨 100톤, 음식물류쓰레기 50톤, 하수슬러지 100톤, 분뇨 70톤 등 총 320톤의 유기성폐자원을 통합 처리해 재생에너지인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며 바이오가스는 폐기물 처리 최종 부산물인 슬러지 건조시설의 건조 열원과 전력생산을 위한 발전 사업에 재생에너지로 활용하게 된다.

이 사업에 적용된 주처리 기술은 금호건설이 지난 2008년 기술개발에 착수해 2014년 검증을 통해 개발한 KH-ABC 바이오가스화 기술로 환경신기술 검증(제185호) 및 녹색기술(GT-14-00231호) 인증을 보유한 순수 국내 개발기술이다.

이 기술은 고농도 유기성폐기물에 적용 가능하고 처리효율이 우수해 바이오가스 발생량을 최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이오가스 내 포함된 악취성분(황화수소)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시는 유기성폐자원 통합처리 시설로 연간 9800톤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효과를 낸다.

이는 약 7만그루의 소나무를 심는 효과와 비슷하며 발생된 폐기물을 개별로 처리하는 기술에 비해 건설비 116억원, 연간 운영비 약 7억원 정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예상하고 있다.

맹정호 시장은 “‘서산시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 시설’은 전국 지자체에 좋은 사업모델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시설 활용을 통해 각종 낭비를 막고 하천방류 오염물질 감소와 악취 저감으로 시 전역 방류 수질 개선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NSP통신 이광용 기자 ispyone@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