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이 3분기 연속 부진을 이어가며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유비리서치의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 트래커’에 따르면, 2025년 1~3분기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1670만 대로 전년 동기(2100만 대) 대비 약 20% 감소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2130만 대 수준에 그칠 전망이며, 전년 대비 14.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폴더블폰 시장이 출시 5년 차에 접어들며 성숙기에 진입했으나, 신규 수요 확대에 한계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큰 제약 요인은 고가다. 하이엔드 바(Bar)형 스마트폰이 130만~170만 원대인 반면, 갤럭시 Z 폴드 시리즈는 200만 원 이상, 화웨이의 트라이폴드 모델은 300만 원을 상회한다. 2026년 출시가 유력한 폴더블 아이폰 역시 250만 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기술 혁신 대비 체감 효용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소비자 구매가 위축되고 있다.
2025년까지 시장 정체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2026년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 출시가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애플에 폴더블 OLED 패널을 단독 공급할 예정으로, 양산이 본격화되면 출하량이 급증할 전망이다.
중국 BOE, CSOT, 비저녹스 등 패널사들은 UTG(초박막유리) 내구성 강화와 저가형 라인 확충으로 대응하며 내수 중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은 “2026년 애플 진입이 시장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삼성디스플레이는 기술적 우위를 기반으로 시장 내 영향력을 더욱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