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조현철 기자 = 장애인을 위한 ‘생애 단계별 지원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수원시가 24일 시청에서 ‘수원시 장애인 평생설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연 ‘2016 수원시 장애인정책 포럼’에서 주제 발표한 이미정 한신대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장애인의 인권, 자립, 평등, 권리, 역량 강화를 위해 생애 단계별 지원이 필요하다”며 “구체적 지원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유아기에는 중점치료내용, 치료 기간 등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돕는 기관이 있어야 한다.
또 장애아 가족에게는 자녀 치료에 필요한 경제적·정서적 안정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며 아동기에는 치료기관과 연계해 가정 안에서 (재활)치료할 방법을 제시해줘야 한다.
중점 역량 강화 시기인 학령기에는 방과 후 교육과 같은 ‘보완 학습’과 집중 치료를 지원하고 청장년기에는 장애인들이 낮에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자조(自助) 활동·공동체 경험 기회 등을 마련해줘야 한다.
이와함께 고령화되는 부모가 장애인 자녀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안정적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노년기에는 장애인이 안정적으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어줘야 한다. 장애인 요양서비스, 재택 장애인을 위한 건강관리 체계, 지역사회 중심 식생활 지원 체계 등이 필요하다.
이 연구위원은 수원시가 준비해야 할 것으로 ▲유·아동 상담센터, 병원, 보건소 등과 연계해 장애 아동 발굴 ▲생애주기별 장애인 현황과 복지 서비스 내용별 데이터베이스화 ▲경제적 수준 낮은 장애인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 마련 ▲성인 재가(在家)장애인의 순회 건강체계 시스템 구축 ▲노령장애인 요양 지원을 위한 서비스 개발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 이해교육 시행 등을 제시했다.
수원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주최하고 수원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수원시정신건강증진센터 등이 공동 주관한 이날 포럼은 이미정 연구위원의 주제발표와 지정·종합토론으로 이어졌다.
유수진 성민사회복지연구소 소장은 토론에서 “장애인의 평생과정 설계는 전문가가 아닌 장애인 주도로 이뤄져야 하며 보호자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장애인과 보호자, 현장 전문가의 상호보완적 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 소장은 이어 “장애인의 평생과정 설계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의 개발 및 기관 간 연계, 지지 체계 구축 등 지역사회 복지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윤경 한국장애인개발원 중앙발달장애인지원센터 팀장은 “평생계획은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서비스를 연계하는 간접서비스 영역”이라며 “평생교육이 원활하게 이뤄지려면 서비스의 총량, 다양성에 대한 고민도 계속해서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영 과천시장애인복지관 사무국장은 “평생 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 전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수원시에서 발달장애인지원센터를 설립해 하나의 단위사업으로 할 수도 있고 현실적인 방안으로 기존 가족지원센터나 장애인복지관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용수 수원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센터장은 “평생 설계의 씨앗이 자라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평생 설계에 대한 정보공유가 우선으로 필요하다”며 “아울러 발달장애인의 개별지원계획을 영역별로 적용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창범 수원시 복지여성국장은 “수원시에서 장애인의 맞춤형 복지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을 펼쳐 장애인이 편안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NSP통신/NSP TV 조현철 기자, hc1004jo@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