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2026지방선거 자유발언대

박용선(경상북도의원) 포항시장 출마 예정자

NSP통신, 조인호 기자, 2025-10-24 15:05 KRX2 R1
#포항시장 #경상북도의원 #지방선거 #포항경제 #POSCO홀딩스(005490)

박용선 경북도의원, “쇳물처럼 뜨겁게, 시민이 주인인 포항을 만들겠습니다”

NSP통신-박용선 경상북도의원
박용선 경상북도의원

(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포항은 산업과 경제, 복지와 교육, 문화와 관광, 그리고 무엇보다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 비전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에 ‘NSP통신대구경북취재본부’는 포항시장 출마 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철학과 비전 등 시민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직접 들려주는 시리즈 [2026 전국동시지방선거 자유발언대]를 마련했다.

이 시리즈는 후보자 간의 경쟁이 아닌 ‘포항의 미래를 누가, 어떻게 그릴 것인가’를 시민과 함께 묻고 듣는 열린 공론장이다.

G03-9894841702

이번 자유발언대를 통해 시민들이 후보의 말 속에서 진심과 비전을 가려볼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포항, 다시 일어서야 한다…“새로운 시대를 여는 시장 될터”

저 박용선은 2026년 지방선거에서 포항시장에 출마하고자 한다. 이 결정은 명예를 위한 도전이 아니다. 포항의 현실을 두 눈으로 보았고 지금의 방향으로는 우리 도시가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포항은 한때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끈 자부심의 도시였다.

하지만 지금의 포항은 산업의 불씨가 꺼져가고, 청년은 떠나고, 골목은 텅 비고, 시민의 자존심마저 흔들리고 있다. 도시는 크지만 마음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예산은 많지만 체감은 없다. 행정은 복잡한데 시민의 삶은 여전히 팍팍하다.

그동안 우리는 ‘철강 도시 포항’이라는 과거의 명성을 붙잡고 있었을 뿐 새로운 시대를 향한 담대한 변화에는 주저해 왔다. 이제는 누군가 나서서 포항의 구조를 바꾸고 경제의 체질을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

저는 그것이 바로 지금의 제 몫이라고 생각한다. 저 박용선은 시민의 뜻으로 포항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시장이 되겠다.

◆박용선이 나서는 이유: ‘행정가’가 아닌 ‘실행가’가 필요하기 때문

저는 정치인이기 전에 현장을 지켜온 사람이다. 포항제철소(005490) 현장에서 땀을 흘렸고 중소기업의 고충을 직접 들었으며 시민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옮겨온 도의원이다. 의정활동 동안 수많은 가능성을 결과로 바꾸어왔다.

포항의 문제는 복잡하지만 해결책은 단순하다. 결국 ‘일을 제대로 해 본 사람’, ‘현장을 아는 사람’, ‘시민의 삶이 행정의 중심에 있다고 믿는 사람’이 시장이 되어야 한다.

저는 말보다 실천으로 증명해 온 사람이다. 행정의 논리보다 시민의 현실을 먼저 보는 사람 그것이 박용선이다. 저는 제 인생 대부분을 포항에서 보냈다.

이 도시에 대한 사랑은 추억이 아니라 책임이다. 저는 포항을 외부의 관점이 아닌 포항시민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시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정책은 의미가 없고, 현장을 모르는 행정은 공허하다. 포항의 구석구석 산업단지에서 어시장까지 청년의 방과 어르신의 경로당까지 직접 발로 다니며 들은 이야기를 시정의 중심으로 세우겠다.

◆박용선의 장점: 말보다 ‘결과’로 증명한 리더십

첫째, 박용선은 실행의 정치인이다. 도의원으로서 수많은 민생조례를 발의했고 교육·복지·산업 현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 냈다.

특히 ‘현장 체험학습 학생 안전관리 조례 개정안’은 학교의 체험학습 현장 안전을 제도적으로 강화한 사례로 “박용선이 움직이면 바뀐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둘째, 박용선은 산업과 경제를 이해하는 사람이다. 철강·이차전지·바이오산업을 연계하는 포항의 3대 산업 구조를 일찍이 분석하고 산업전환에 필요한 ‘전기요금 결정권 지방이양’, ‘철강산업 지원특별법’ 제정을 정부에 지속해서 요구했다.

이것은 단순한 정치 구호가 아니라 산업 현장을 아는 사람만이 내놓을 수 있는 실행할 수 있는 해법이었다.

셋째, 박용선은 사람 중심의 행정을 믿는다. 어르신의 안부를 묻고,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듣고, 청년의 미래를 설계하는 일이야말로 행정의 본질이다. 저는 ‘사람의 온도가 느껴지는 시정’, ‘관청의 문턱을 낮추는 행정’을 만들어 내겠다.

◆“철강 도시에서 AI 도시로, 다시 산업의 심장을 뛰게 하겠다”

포항의 미래는 과거 산업의 반복이 아니라 새로운 산업의 융합에서 시작된다. 시장이 된다면 4대 마스터플랜을 즉시 추진하겠다.

먼저 AI·데이터 기반의 산업 혁신도시를 구축하겠다. 오픈AI·삼성 글로벌 데이터센터 유치를 중심으로 포항을 대한민국 AI 산업의 중심으로 키우겠다.

철강·이차전지·바이오산업에 AI 기술을 접목하여 스마트 제조·신소재 개발·신약 연구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겠다. 포항은 더 이상 ‘전통산업의 도시’가 아니라 ‘미래산업의 실험실’이 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경제의 자생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포항의 골목과 시장, 소상공인의 삶에 다시 불을 밝히겠다.

‘포항경제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화폐 활성화, 창업 리모델링 지원, 청년 상권 조성 등을 추진해 지역경제의 숨통을 틔우겠다.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이 연결되는 도시 순환형 경제를 완성하겠다.

그리고 ‘청년 정주 도시 포항’을 만들겠다. 청년들이 떠나는 도시가 아니라, 돌아오는 도시를 만들겠다. 창업·주거·문화가 결합한 청년창업복합센터를 설립하고 기술창업·문화창작·커뮤니티가 공존하는 ‘청년 특화 지구’를 조성하겠다. 청년이 머물면 도시가 젊어진다.

끝으로 시민이 행복한 생활 인프라 도시를 조성하겠다. 행정의 목표는 결국 시민의 행복이다. 어르신 돌봄·장애인 복지·육아 돌봄 체계를 강화하고, 의료·교육·문화 시설을 균형 있게 확충하겠다. 도시의 외형보다 시민의 삶이 빛나는 도시, 그게 저 박용선이 꿈꾸는 포항이다.

◆“포항의 내일은 ‘시민의 손’으로 만들어야 한다”

도시의 주인은 행정이 아니라 시민이다. 포항을 ‘시민의 뜻으로 움직이는 시정’으로 바꾸겠다. 포항의 발전은 거창한 공약보다 시민의 참여와 신뢰 위에서 이뤄진다.

정치가 시민을 이끄는 것이 아니라 시민이 정치의 방향을 정해야 한다.

시민의 목소리가 곧 시정의 나침반이 되도록 하겠다. 평소에 “행정은 계획으로 움직이지만 도시는 사람으로 완성된다”라고 생각해 왔다.

포항의 변화는 거대한 예산이 아니라 시민의 열정과 신뢰로 시작된다.

◆“이제 포항의 진짜 변화가 시작된다, 박용선이 하겠다”

지난 반세기, 포항은 철강으로 대한민국을 일으켰다. 앞으로의 반세기 포항은 AI와 혁신으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야 한다.

저는 포항의 잠재력을 믿는다. 그리고 그 변화를 이끌 용기와 실행력을 준비했다. 이제 포항은 과거의 영광에 머무를 수 없다.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박용선은 말보다 행동으로, 구호보다 실천으로, 포항의 변화를 증명하겠다. 포항이 다시 뛴다. 그 중심에 시민이 있고 그 곁에 언제나 박용선이 있을 것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