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조이호 기자 = 정영혜 경기 김포시의회 의원이 간접흡연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금연거리 확대 지정과 금연지도 인력 확충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정영혜 의원은 23일 열린 제262회 김포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거리와 신호등 앞에서 코끝을 스치는 담배 연기는 단순한 불쾌감의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건강권과 도시환경의 문제”라며 “흡연의 자유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이미 비흡연권을 흡연권보다 상위의 기본권으로 명시했으며, 세계보건기구 역시 간접흡연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며 “시민의 비흡연권 보장은 행정이 책임져야 할 공공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김포시의 금연거리 지정 현황에 대해 “현재 7개소 중 6개소가 사우동 인근에 집중돼 있어 운양동, 구래동, 장기동 등 신도시 지역은 여전히 간접흡연에 노출돼 있다”며 “특히 운양역 인근은 아동과 임산부 통행이 많은 곳으로 금연거리 지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포시 금연지도원은 현재 6명으로 1인당 2800여 개소를 관리하고 있다”며 “보건복지부 기준에 한참 못 미치는 인력으로는 실질적인 단속과 계도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김병수 시장을 향해 첫째 금연지도원의 탄력적 인력 운영과 지역별 배치 강화, 둘째 금연벨 설치와 찾아가는 금연클리닉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금연사업 추진, 셋째 특정 지역에 집중된 금연거리 구조를 개선하고 가족 중심 생활권을 중심으로 균형 있게 확대 지정할 것 등 세 가지를 요청했다.
그는 “금연거리 지정은 단순한 도시미관의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공공정책”이라며 “행정이 민간의 자발적 노력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흡연자와 비흡연자가 공존할 수 있도록 밀폐형 정화 시스템을 갖춘 스마트 흡연부스 도입 등 대체 공간 마련도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 의원은 “담배 냄새 없는 거리가 곧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고 이는 다시 살기 좋은 김포로 이어질 것”이라며 “운양역 인근 금연거리 지정은 지금이라도 시작해야 한다. 행정이 시민의 건강권 보호를 위해 실질적으로 나서 달라”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