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곡성군 출신 전남도 무형유산 보유자 김영성 대목장, 국가무형유산 승격 지정

NSP통신, 김용재 기자, 2025-10-20 15:24 KRX7 R0
#곡성군 #전남도 무형유산 보유자 #김영성 대목장 #국가무형유산 #곡성 삼베짜기

곡성군, 곡성 삼베짜기, 장도장 이어 세 번째 국가무형유산 보유

NSP통신-국가무형유산 김영성 대목장. (사진 = 곡성군)
fullscreen
국가무형유산 김영성 대목장. (사진 = 곡성군)

(전남=NSP통신) 김용재 기자 =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도 무형유산 대목장 김영성 보유자(69)가 국가무형유산 ‘대목장’ 보유자로 승격 지정됐다고 20일 밝혔다.

대목장은 궁궐이나 사찰 등 전통 목조 건축의 설계와 시공 전 과정을 책임지는 장인을 의미한다.

목조건축물을 지을 때는 기와장이·흙벽 장이 등 다양한 장인들의 협조가 이뤄져야해 이들 사이에서 공사 전체를 책임지고 감리역할까지 담당하는 대목장의 역할은 중요하다.

G03-9894841702

김영성 보유자는 1957년 곡성군 목사동면 출생으로 1977년 고(故) 고택영(국가무형유산) 선생의 제자로 들어가 순천시 송광사 침계루의 보수공사를 시작으로 한국 전통 건축 일을 배웠으며, 최원식-조원재-고택영으로 이어지는 한국 전통 건축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이같은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21년 전남도 무형유산 대목장 보유자로 지정됐다.

이번 국가무형유산 승격 지정은 대목장 종목의 전승능력, 전승환경, 전수활동 기여도 등이 탁월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국가무형유산 ‘대목장’보유자로 인정받았다.

곡성군은 이로써 곡성 삼베짜기(돌실나이), 장도장(낙죽장도)에 이어 세 번째 국가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군 관계자는 “어렵고 힘든 여건 속에서도 묵묵히 전통을 계승해 소중한 문화유산을 지키고 있는 김영성 보유자께 존경을 표한다”며 “앞으로도 소중한 곡성의 전통문화와 무형문화유산을 적극 발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