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경기도는 백경현 구리시장의 서울 편입 추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또 이에 대한 상응하는 조치로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구리 이전과 관련된 모든 절차를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게다가 도는 백경현 구리시장은 개인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구리 시민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시민 간 갈등을 조장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구리시장이 서울 편입 추진을 멈추지 않는다면 GH 구리 이전은 최종적으로 백지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21일 오전 경기도 브리핑룸에서 구리시 서울 편입 주장 관련 GH 구리 이전에 대한 경기도의 입장발표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고 “백경현 구리시장이 여전히 구리시 서울 편입과 GH 구리 이전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태도에 대해 김동연 경기도지사께서는 “‘구리시가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한 GH의 구리시 이전 백지화를 검토하라’는 지시가 있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경기도는 70년 동안 각종 규제로 묶인 경기 북부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대한민국의 균형 발전을 견인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경기 북부 이전을 추진해 왔다”면서 “이에 따라 구리시는 2021년 공모 과정에서 10개 시군을 제치고 GH 이전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는 구리 시민 1만명 이상의 유치 서명과 20만 시민의 염원이 반영된 결과”라고 했다.
특히 “더 나아가 경기 북부 발전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GH의 구리 이전은 경기 북부를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도약시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라고 역설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백경현 구리시장은 GH 이전과 서울 편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라면서 “이는 모순된 주장이다. 구리시가 서울에 편입된다면 GH가 구리로 이전할 이유는 전혀 없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도는 “GH 구리 이전의 전면 중단을 결정했으며 구리시장의 서울 편입 추진이 지속될 때 GH 이전 백지화까지 검토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경기도는 서울 편입 추진이 지방분권 개헌과 모순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고영인 부지사는 “오세훈 서울시장 또한 지난해 총선 정국에서 구리시와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토론회에선 지방분권 개헌을 강조했다”라면서 “구리, 김포의 서울 편입 주장이 지방분권 개헌의 취지와 맞는지 묻고 싶다”라고 의구심을 제기했다.
또한 지방분권을 주장하면서 수도권 집중을 더욱 심화시킬 서울 편입을 추진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행보 라고 지적했다.
도는 “수도권의 과도한 집중이 주민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수도권 내에서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행정 체제 개편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경기 북부의 자립적 발전을 위해 경기 북부 특별자치도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고영인 부지사는 “경기도는 구리 시민들과 경기 북부 주민들의 미래를 위한 정책적 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