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원자력환경공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부지 공모

NSP통신, 조인호 기자, 2024-06-18 13:19 KRX7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공모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지하 500m 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 연구시설 부지 공모
오는 25일 관심 지자체 대상 사업설명회 개최
유치의향서는 7월 19일까지, 유치계획서는 8월 2일까지 접수

NSP통신

(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함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확보를 위한 부지공모를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정부는 제2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21.12),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연구개발(R&D) 로드맵('24.2) 등에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을 활용한 방폐물 관리기술 확보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은 처분시설과 유사한 심도(지하 약 500m)에서 우리나라 고유의 암반 특성과 한국형 처분시스템의 성능 등을 실험·연구하는 시설로, 고준위 방폐장과는 별개의 부지에 건설하는 순수 연구시설로, 운영 과정에서 사용후핵연료와 방사성폐기물은 전혀 반입되지 않는다.

G03-9894841702

미국·독일·스웨덴·스위스·캐나다·벨기에·프랑스·일본 등 8개국이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을 운영 중이거나 과거 운영한 바 있다.

연구용 지하연구시설에서는 국내 지질환경에 적합한 처분기술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등이 이루어지며, 일반국민이 고준위 방폐장과 유사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시설로도 활용된다.

고준위 방폐물 관리 특별법 제정 이후 추진할 고준위 방폐장 부지선정,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동 시설에서 개발한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부지선정을 위해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부지선정평가위원회를 별도 구성 후, 기초지자체가 제출한 유치계획서와 현장 부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암종적합성 등 8개 항목을 평가하고 연내 부지선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오는 2026년 구축사업 시작 후 2032년 최종준공 목표이며, 운영기간은 2030년부터 약 20년간이다.

산업부와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오는 25일 관심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유치의향서는 7월 19일까지, 유치계획서는 8월 2일까지 접수하며, 접수처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