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임창섭 기자 = 최근 한국 주식시장의 저조한 실적은 중국 경기 둔화와 미국 양적완화 축소 우려 등에 기인한 것.
최근 한국 주식시장이 저조한 실적을 보인 것은 주로 중요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둔화,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영향 및 美 경기회복이 더디게 진행될 때 유럽시장으로의 투자 확대를 권유하는 일각의 움직임 등 때문.
한국 정부 당국은 당분간 경기 부양을 실행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 미국의 수요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나 중국 경제의 둔화는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예의주시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일부 애플社 제품의 미국 내 수입금지 처분에 대한 美 오바마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상당히 국수주의적(nationalistic)인 처사였다는 비판이 일고 있음.
이번 사례는 오바마 대통령의 본색이 드러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곧 미국식 자유시장 경제모델의 한계를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함.
이로써 삼성과 애플 모두 특허권 소송에 있어 향후 막대한 자금의 투입을 피할 수 없을 것임.
원문
“I think there are three primary reasons why Korean equities have underperformed recently: 1) China is having trouble and China is obviously a very important export market, 2) There is the ‘Taper Tantrum’ impacting markets globally, so why buy into emerging markets when you will be sideswiped by US central bank tightening, and 3) If there is a slow rebound in the US, some think that perhaps oversold European markets may do better. . . I don’t think Korean policymakers will do any more stimulus for some time, but rather will assume US demand will pick up. But China’s economy is problematic; they will probably wait and see how China develops.
“The US’ veto of an import ban on some Apple products is so nationalistic; it’s like something Korea itself would do.
Obama showed his true colors; this is definitely not a ‘US believes in open markets’ decision.
It is especially surprising, because even the US courts showed they are immune from nationalism in the situation.
Unfortunately this will encourage both Samsung and Apple to ‘invest’ further huge amounts of money in ‘patent profit litigation centers’, hiring more high priced law firms.”
<정리 = 국제금융센터 남경옥 연구원
임창섭 NSP통신 기자, news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