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Focus 미국
갑작스런 양적완화조치 향방언급 혼란초래[서울=NSP통신] 임창섭 기자 = [양적완화조치] Fed의 선제적 안내(forward guidance)를 비난하는 이코노미스트들의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Fed가 말하는 것 보다 Fed가 행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갑작스러운 양적완화조치 향방에 대한 언급은 시장변동성 확대 등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Goldman Sachs 이코노미스트 Hatzius는 “Fed는 양적완화조치 보다 선제적 안내 역할을 선호하며 9월 FOMC에서 양적완화조치 규모를 감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BNP Paribas 이코노미스트 Coronado는 “Fed는 향후 인플레이션에 관심을 높여 실업과 동등하게 관심을 기울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구재] 6월 내구재주문이 예상(+1.5%)을 웃도는 전월(+5.2%)대비 4.2% 증가했다.
상무부에 따르면 운송재 주문이 12.8% 증가한 가운데 그중 민간항공기 주문이 31.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운송재를 제외한 내구재주문은 전월(+1.0%)대비 보합, 국방과 항공부문을 제외한 핵심 내구재 주문은 전월(+2.2%)대비 0.7% 증가했다.
TD Securities 이코노미스트 Green은 3분기 내구재 주문이 늘어날 전망했다.
[실업급여] 지난주(20일 마감) 신규실업급여 신청자 수(34.3만명)가 예상(34.1만명)을 넘어 전주(33.6만명)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4주 이동평균이 전주대비 1250명 감소한 34만5250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TD Scurities 이코노미스트 Goldberg는 고용창출 및 노동시장 개선에 대한 약간의 부담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했다.
재무장관 Lew는 경기회복 속에서 장기실업자 실업률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는데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소비자안정지수] 지난주(21일 마감) 소비자안정지수가 지난주(-28.4)보다 상승해 지난 2008년 1월 이후 최고치인 -27.3을 기록했다.
이는 주택 및 주가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Bloomberg LP 이코노미스트 Brusuelas는 고용안정 등으로 소비자안정지수가 지속적 상승중이라고 분석했다.
[CP] 이번주(10일 마감) CP시장 규모는 전주대비 31억달러 감소한 9961억 달러를 기록했다.
[모기지금리] 이번주(25일 마감) 30년만기 모기지금리(4.31%)는 전주(4.37%)대비 0.06%p 하락했다.
이는 3주만에 최저치로 15년만기도 전주(3.41%)대비 하락(3.39%)했다.
[제조업] 켄자스 연은은 , 7월 제조업지수(6)가 예상(0)을 상회한 전월(-5)대비 상승했다고 밝혔다.
내구재 및 非내구재 생산이 모두 증가해 생산지수는 전월(-17)대비 상승한 2011년 6월이후 최고치(21)를 기록했다.
[주가] 최근 주가상승 원인에 대한 이코노미스트의 평가가 엇갈린다.
Newedge USA LLC 이코노미스트 Batenburg는 “지난 2009년이후 S&P500지수 상승원인의 47%는 양적완화조치로 인한 역사적 저금리 등에 기인한다”고 분석을 내놓았다.
반면 Ameriprise Financial Services Inc 이코노미스트 Price는 “기업수익 증가는 R&D 세액공제 등에 기인하며 지난 2009년 GDP대비 기업 납부세액은 1%로 4년전의 2%대 보다 낮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채권] 시장이 차기 Fed 의장으로 Summers(前국가경제위원장) 보다 Yellen(Fed 부의장)을 선호하고 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이는 그가 지난 4월 컨퍼런스에서 “양적완화조치는 대다수의 예상보다 실물경제에 덜 효과적”이라고 주장할 만큼 양적완화조치에 대해 덜 열성적인 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디트로이트市 긴급구제] 공화당의 상원의원들이 연방정부의 디트로이트市 긴급구제에 반대법안을 상정했다.
이와관련 공화당 상원의원 Graham는 연방정부지출이 파산하거나 파산위기에 놓인 지방자치단체 자산, 부채 등을 매입하고 보증하는데 쓰이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 제출한 것.
공화당 상원의원 Cornyn도 법원관리나 파산위기에 놓인 지방자치단체를 보호하기 위한 교통 및 개발 지출을 금지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임창섭 NSP통신 기자, news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