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LG전자 ‘인버터 DD모터’, 누적 생산 1억 대 돌파

NSP통신, 이복현 기자, 2023-03-06 17:33 KRD7
#LG전자(066570) #인버터DD모터 #누적생산1억대돌파

1998년 첫 생산부터 현재까지 25년간 일 평균 약 1만 2050대 생산…지난해부터 건조기에도 인버터 DD모터 확대 적용

NSP통신- (LG전자)
(LG전자)

(서울=NSP통신) 이복현 기자 = LG전자(066570)가 세계 최초로 세탁기에 적용해 상용화한 ‘인버터 DD(Direct Drive)모터’가 누적 생산량 1억 대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LG전자의 인버터 DD모터 누적 생산량은 올해 2월 말 기준 누적 1억 1200만 대를 넘어섰다. 이 기록은 LG전자가 인버터 DD모터를 처음 생산한 1998년부터 25년간 일 평균 1만 2050대 이상을 생산했음을 의미한다.

LG전자 세탁기의 핵심부품인 인버터 DD모터는 모터와 세탁통을 직접 연결해 소음과 에너지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세탁통과 모터를 연결하는 별도 부품이 없어 제품이 구조적으로 단순해지고 내구성까지 좋아 프리미엄 세탁가전의 기준으로 자리잡았다.

G03-9894841702

LG전자는 인버터 DD모터 생산 20주년인 2018년 초 누적 생산량 7천만 대를 기록한 이후 5년 만에 4천만 대 이상을 추가 생산했다.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앞세운 LG전자 프리미엄 세탁가전이 고객들에게 인정받으며 수요가 빠르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건조기에도 인버터 DD모터를 확대 적용했다. 모터가 동작하는 속도를 상황에 따라 조절하는 인버터 기술을 활용해 섬세한 손빨래 동작과 같은 다양한 세탁모드를 구현한 LG 세탁기만의 차별점인 ‘6모션’을 건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인버터 DD모터를 적용한 건조기는 자연에서 빨래를 건조하는 방법과 유사한 털기, 펴주기, 널기, 휘날리기, 살랑이기, 뒤집기 등 6가지 방식으로 동작한다. 특히 펴주기, 널기, 살랑이기는 건조통의 회전 속도를 기술적으로 조절해 의류 수축의 주요 원인인 옷감의 낙차를 줄여준다.

LG전자는 현재까지 4세대에 걸쳐 인버터 DD모터의 기술과 성능을 진화시켜왔다.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인버터 DD모터 관련 특허를 국내와 해외에서 240여 건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다.

LG전자의 차별화된 모터 기술력은 인버터 DD모터뿐 아니라 에어컨 컴프레서에 탑재하는 인버터 모터, 냉장고 컴프레서에 탑재하는 리니어 모터 등에도 적용돼 있다.

에어컨은 전체 소비전력의 80% 정도를 컴프레서가 사용한다. 컴프레서가 동작할 때 전력 손실이 생기는 데 이 중 절반 이상이 모터에서 발생한다.

LG전자는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한 모터 고효율 기술을 지속 개발하고 있다. LG전자가 가장 많이 생산하는 1마력 급 인버터 모터의 경우 매년 평균 3% 이상의 에너지 손실을 개선해오고 있다. 현재 양산 중인 2세대 모터는 초기 모델 대비 전력 손실이 20% 정도 줄었다.

LG 프리미엄 냉장고의 핵심부품인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에 탑재되는 리니어 모터는 회전 대신 직선운동을 한다. 이는 에너지 손실이 적어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모터 속도를 자유자재로 구현하는 인버터 기술을 더해 냉장고를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데 도움이 된다.

LG전자 H&A사업본부 부품솔루션사업부장 김양순 전무는 “차별화된 모터 기술력이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부품 경쟁력을 높이고 ESG 관점에서 제품의 탄소배출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부품 고효율화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NSP통신 이복현 기자 bhlee201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