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알아보니

후불결제 BNPL도 ‘영끌’ 조장…장기 연체시 ‘채권추심’에 던져져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3-01-26 09:10 KRD2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BNPL #후불결제 #연체율
NSP통신-자료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SNS 캡처
자료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SNS 캡처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BNPL(Buy Now Pay Later·후불결제) 서비스가 출시됐지만 이는 또 하나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빚을 낸다)’을 조장해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BNPL서비스의 연체율은 급증하는데 이를 제재할 마땅한 법안이나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후불결제 후 장기간 연체시 신용점수가 하락하고 채권추심회사에 위탁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학계는 “BNPL서비스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빚투(빚을 내서 투자)에 이어 빚소(빚내서 소비)까지 조장한다”고 지적했다.

네이버파이낸셜, 토스, 쿠팡의 BNPL 월 이용한도는 최대 30만원~130만원 수준이다. 카카오페이는 후불교통카드 서비스에만 후불결제가 가능하다.

G03-9894841702

BNPL 서비스는 금융위원회가 지정한 혁신금융서비스로 사회초년생, 주부 등 씬파일러(금융거래이력 부족한 사람들)에게 소액 신용 기회를 제공하고자 나왔으며 현재는 베타서비스로 시범 운영되고 있다.

문제는 ‘소액’이지만 여러 업체에서 ‘영끌’ 후불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면 약 200만원 가량으로 ‘빚’이 불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업체간 연체정보 공유가 불가능해 연체율 관리도 어렵다. 금융위가 네이버파이낸셜·토스·카카오페이의 BNPL 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하면서 ‘연체정보 공유 제한’ 조건을 부가 조건으로 달았기 때문이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
(강수인 기자)

실제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재호(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BNPL 서비스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말 기준 BNPL 서비스 연체율(30일 이상 연체된 금액 비율)은 네이버파이낸셜 1.48%, 토스는 1.15%를 기록했다. 특히 네이버파이낸셜은 전년 말(0.65%)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BNPL의 연체율은 신용카드사의 평균 연체율이 0.87%(지난해 9월 말 기준)인 점 등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연체 금액 역시 급증했다. 네이버파이낸셜의 경우 2021년 8월말 연체채권이 400만원이었는데 1년새 1억 3700만원으로 불어났다. 지난해 3월 서비스를 시작한 토스는 2022년 6월말 연체채권이 500만원에서 8월말 1억6300만원으로 늘었다.

특히 BNPL은 씬파일러를 대상으로 하지만 연체될 경우 채권추심에 소송까지 갈 수 있다.

네이버파이낸셜, 토스에 따르면 BNPL 가입시에는 신용점수에 영향이 없지만 BNPL을 이용한 후 연체됐을 땐 개인신용점수 하락뿐 아니라 채권추심회사에 위탁, 소송 등 법적 조치 등이 이뤄진다.

이같은 위험성에도 핀테크 업체들과 홍보대행사들은 BNPL에 대해 “돈이 없어도 구매할 수 있다”는 문구를 달고 SNS(소셜네트워킹서비스)에서 MZ세대를 타켓으로 홍보하고 있다.

네이버파이낸셜과 토스는 각각 “지금 사고 나중에 내세요”, “오늘 결제하고 다음달에 내세요”라고 BNPL을 소개했다. 한 광고에이전시는 “MZ세대 취향저격 새로운 결제방식”이라며 “돈이 없어도 구매할 수 있다”고 BNPL을 홍보했다. SNS(소셜네트워킹서비스)상에서는 명품이나 고가의 전자제품 결제를 내세워 BNPL을 알리는 모습도 포착됐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 BNPL은 해외와는 다르게 쿠팡과 같은 온라인 쇼핑업체도 직접 제공하고 있어 발생하는 문제”라며 “IMF사태 이후 카드남발로 대학생들이 신용불량자로 몰렸던 것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빚투, 영끌에 이어 빚소(빚내서 소비)까지 조장하면 안 된다”며 “BNPL이 지금은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돼 있지만 연체율 관리를 위해 하루 빨리 전자금융거래법과 여신전문금융업법을 적용받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카카오페이가 BNPL을 후불교통카드에만 제공하는 이유는 연체율이 발생하기 적은 분야이기 때문”이라며 “카카오페이 사용자가 많다 보니 보수적으로 접근했다”고 설명했다. BNPL 연체의 위험성에 대해 미리 인지하고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어 “BNPL 연체율 관리가 워낙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에서 제대로 된 규제를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NSP통신 강수인 기자 sink606@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