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미얀마, 라오스 등 12개 나라에 관세 서한을 보냈다.
지난 7일 트럼프는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 소셜’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인으로 하는 서한을 올렸다. 그는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며 “이는 모든 부문별 관세와는 별개로 적용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4월 한국에 부과한 상호관세 25%와 같은 수준이다. 지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교역 국가에 10%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57개 경제주체에는 차등해 더한 상호관세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한국에는 기본 10%에 15%를 더한 25%의 상호관세가 발표됐다.
로이터통신은 “자동차, 철강 및 알루미늄과 같이 이전에 발표된 부문 관세와 결합 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우리나라에 책정된 자동차 25%, 철강 및 알루미늄 각 50% 등 품목별 관세율에 상호관세가 더해지지는 않는다는 의미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회피를 목적으로 우회 수출되는 제품도 이 높은 관세의 대상이 된다”며 “귀국이 관세를 인상하고자 하는 어떤 이유가 있다면 그 인상분은 우리가 부과하는 25%에 추가될 것”이라고 보복관세, 우회 수출에 대한 강한 경고를 남겼다.
이어 “이는 우리의 무역 관계에 대한 강력한 의지와 상당한 무역 적자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한국과의 협력을 계속하기로 결정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만약 귀국이 지금까지 폐쇄돼 있던 시장을 미국에 개방하고 관세 및 비관세 정책과 무역 장벽을 철폐하길 원한다면 우리는 이 서신의 내용을 재조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서한으로 8월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 측의 주된 관심사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국내 제도 개선, 규제 합리화 등과 함께 양국 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 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한·미 통상 현안 관계 부처 대책회의’를 열 계획임을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