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바이러스 4.5% 비중 2종만 연구용 공급

NSP통신, 강은태 기자, 2020-10-07 15:22 KRD7
#질병관리청 #코로나19 #바이러스 #서정숙

서정숙 의원, “정부가 코로나19 위기상황이라며 온 국민에게 희생을 강요하고 정작 질병관리청은 절차적 문제를 논하며 늑장대응 하고 있다”

NSP통신- (서정숙 의원실)
(서정숙 의원실)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총 7종 증 비중이 4.5%에 불과한 2종만 연구용으로 공급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정숙 국민의힘 국회의원(비례대표)은 7일 보건복지위 국정감사 자료에서 질병관리청이 감염 비중이 67.4%로 가장 많은 GH타입의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연구용으로 공급하지 않고 비중이 4.5%에 불과한 S타입(233건)과 L타입(30건) 2종만 연구용르ㅗ 공급했다고 비판했다.

서 의원은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하여 총 7가지로 분류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여태껏 단 2종만 연구용으로 분양하고 있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G03-9894841702

이어 “특히 우리나라의 감염 상황을 살펴보면, 지난 5월 이태원클럽발 감염확산 이후 GH형 바이러스가 주로 전파되고 있고 질병관리청 역시 코로나19 감염확진자 1040명의 유전자 서열 정보를 분석을 통해 GH타입이 67.4%로 가장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4.5%에 불과한 S타입과 L타입만을 연구기관 등에 계속 제공해 온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직접 연구할 수 있는 생물안전 3등급(BL-3) 이상의 시설은 국내 72개(공공기관 52, 교육기관 11, 의료기관 7, 민간 2)이지만 이 중 민간기관은 2개에 불과했다.

하지만 질병관리청은 지난 9월 13일 발표를 통해 민간 제약사 등 19개 기관의 시험시설 사용 신청에 대해 10곳을 허가했다고는 하지만 해외 제약사들의 인프라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해외사례를 살펴보면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선두 주자인 우한생물학연구소는 BL-3 시설로 백신을 직접 개발하고 있고 현재 백신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미국 화이자 역시 BL-3 수준의 시험시설을 갖추고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발생이후 정부 연구과제로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위해 총 1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정부의 바이오 제약 산업 육성에는 충분치 않아 세계적 역량을 갖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NSP통신- (서정숙 의원실)
(서정숙 의원실)

한편 서 의원은 “정부는 이러한 지적에 대해 ‘GH형의 분양은 절차를 밟느라 늦었고 S,L형은 긴급한 위기 상황이라 즉시 분양했다’고 입장을 밝혔는데 과연 2월에 비해 GH형이 유행하기 시작했던 5월이 덜 긴급한 상황이었는지 묻고 싶다”며 “정부가 코로나19 위기상황이라며 온 국민에게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데 정작 질병관리청은 절차적 문제를 논하며 늑장대응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NSP통신 강은태 기자 keepwatch@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