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경기 안산환경재단(대표 홍희관)은 안산갈대습지 생태누리관 앞 갯벌 지역에서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저어새(Platalea leucorodia) 10여마리가 먹이활동을 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이번 관찰은 재단이 수행 중인 기수역 생태계 모니터링 과정에서 확인된 결과로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갈대습지가 멸종위기 조류의 안정적인 먹이터로 기능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적 의미가 크다.
저어새는 몸길이 약 80~90cm에 이르는 대형 백로과 조류로 부리가 납작한 주걱 모양인 것이 특징이다.
부리를 좌우로 저으며 갯벌 속의 작은 물고기, 새우, 수서곤충 등을 걸러 먹는 습성이 있어 ‘저어새(Spatula-billed Stork)’라는 이름이 붙었다.
국내에서는 인천 송도와 강화도를 중심으로 번식하지만 시화호와 안산갈대습지 일대에서도 최근 몇 년간 소수개체의 출현이 관찰되고 있다.
최근 안산갈대습지에서는 붉은발말똥게, 금개구리, 수달 등 다양한 멸종위기종이 잇달아 확인되고 있으며 저서생물과 조류의 출현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도심 속 기수역 생태계가 점차 복원돼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다.
특히 안산지역의 기수역은 민물과 바닷물이 교차하는 생태 전이대(ecotone)로 염분대가 다양해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다.
안산갈대습지는 이러한 기수역 특성이 뚜렷한 수도권 유일의 대규모 내륙형 갯벌로 도시개발 이후에도 보전된 서식지가 생태계 안정의 핵심 기반이 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홍의관 안산환경재단 대표는 “도심 속에 위치한 안산갈대습지가 저어새를 비롯한 멸종위기종의 먹이터로 자리 잡았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안산환경재단은 앞으로도 시화호와 연계한 기수역 생태축 복원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기업 ESG 협력사업을 통해 도시 속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회복과 시민이 체감하는 생물다양성 증진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