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경북도, ‘영유아 돌봄 시설 등 안전 강화 대책 회의’ 개최

NSP통신, 조인호 기자, 2025-02-20 17:47 KRX7
#경북도 #이철우도지사 #영유아돌봄시설 #대책회의 #안전관리
NSP통신-경상북도는 20일 오전 도청에서 영유아 돌봄 시설 등 안전 강화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 = 경상북도)
경상북도는 20일 오전 도청에서 ‘영유아 돌봄 시설 등 안전 강화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 = 경상북도)

(경북=NSP통신) 조인호 기자 = 경상북도가 최근 대전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비극적 사건과 관련해 영유아, 청소년, 가족시설 등에 대한 선제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했다.

경북도는 지난 13일 돌봄 시설 안전관리 강화 긴급회의에 이어 20일 오전 경북도청에서 ‘영유아 돌봄 시설 등 안전 강화 대책 회의’를 연달아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김학홍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도 관계부서, 도 교육청, 소방본부, 자치 경찰, 어린이집 원장, 대학교수, 학부모 대표 등 민관이 함께 모였다.

G03-9894841702

안전 강화 대책 회의는 돌봄 시설 등 안전 강화를 위한 경북도 정책 대응 방향 및 관계기관 대책 보고, 학부모 등 정책 수요자 의견 발표순으로 진행됐다.

우선 저출생과전쟁본부는 돌봄 시설을 이용하는 초등학생들이 혼자 귀가 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돌봄공동체가 동행하는 돌봄 귀가 안전 총괄 대책을 수립한다.

특히 의용소방대·자율방범대 등이 하루 6시간 2인 1조로 상시 활동하며 순찰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도내 영유아 돌봄 시설 등 돌봄 선생님의 스트레스 예방과 처우 개선을 위한 산림·원예·웃음 치유 등 힐링 프로그램 등도 운영한다.

돌봄 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이 돌봄 시설에서 나올 때 자동으로 보호자에게 통보될 수 있도록 다 함께 돌봄센터 등 신규 시설에는 전자 출결 설치를 의무화하고 위치 추적이 가능한 무료 앱 설치도 안내한다.

또한 다양한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어린이집 안전공제회 지원 항목도 기존 4종에서 15종으로 확대 강화해 나간다.

아울러 가족·여성, 아동·청소년 시설 종사자의 번 아웃 예방을 위해 상담을 지원하고 여행·영화 등 힐링캠프 등을 운영하는 한편 도내 1813개소의 돌봄 시설에 대한 시설 점검도 수시로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복지건강국은 도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활용해 돌봄 선생님 심리회복을 지원한다. 도내 돌봄 시설 등이 신청하면 매월 10일 온라인 마음 건강 검진은 물론 주 2회 ‘마음 안심 버스’를 통한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소방본부는 공동체 돌봄이 시행 중인 8개 시군에 180명 정도의 의용소방대원이 동행해 아이들이 돌봄 시설에서 자택으로 이동할 때 안전을 지원한다.

도내 영유아·청소년·가족시설 등에는 119와 즉시 연결이 가능한 비상벨 설치를 확대해 응급상황 발생에도 대비한다.

자치경찰위원회는 자율방범대와 협조 체계를 구축, 어린이 통학버스에 탑승해 어린이의 승하차와 안전 이동을 돕는다. 특히 경상북도경찰청과 함께 아동안전지킴이 819명을 선발해 활동을 강화하고 학교전담경찰관, 배움터지킴이 활동과 연계해 아동 안전관리를 위한 순찰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경북도교육청은 늘봄학교 끝나면 학부모 동행 귀가 등을 원칙으로 학생 귀가 지점까지 인솔을 강화하는 등의 귀가 방안을 마련한다.

늘봄학교에 참여한 학생의 교내 이동 동선 관리 강화를 위해 2명 이상으로 인력을 확충하고 CCTV, 화상 인터폰 등 안전시설도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경북도는 도 교육청과 함께 119 비상벨 지원, 늘봄학교 하교 시간대 학교 주변 순찰 강화, 귀가 지원 인력 확충, 학생 귀가 알림 앱 서비스, 이동 차량 지원 등 학생 안전 강화 방안 마련을 위해서도 지속 협업해 나간다.

회의에 참석한 A 가톨릭상지대 유아교육학과 교수는 “최근 안타까운 사건으로 공공 돌봄 전반에 대한 불안이 확대되는 게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고 “지역사회가 함께 시스템을 점검하고 미비한 점을 조속히 개선해 빠르게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학부모 대표로 참석한 B 씨는 “이번 사고에서 보듯이 돌봄 시설과 집, 학원 등을 연결하는 루트에 대한 안전 확보가 필요하다”며 아이들의 이동 안전 대책 강화를 요청했다.

회의를 주재한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어린이 안전사고만큼은 절대 발생해서는 안 된다. 경북도는 교육청, 소방, 경찰, 민간 시설 등과 적극 협업해 도내에서는 어린이 안전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