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확인해보니

캠코 올해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 지원규모…최대 2천억까지 확대

NSP통신, 유정상 기자, 2020-01-09 08:00 KRD2
#캠코 #한국자산관리공사 #임대프로그램 #캠코자산매입지원 #경영지원난기업
NSP통신

(서울=NSP통신) 유정상 기자 = 한국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가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의 지원 금액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경기침체 장기화 등의 이유로 주로 중소·중견 기업들을 중심으로 경영난과 마주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 이에 캠코는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으로 일시적인 자금난으로 인해 경영위기에 봉착한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다.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은 캠코가 현재 일시적으로 자금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의 공장·사옥 등의 자산을 매입해주고 그 자산을 해당 기업에 다시 임대해주는 방식.

G03-9894841702

대상 기업에게는 ‘우선매수권’이 주어져 추후 사정이 나아지면 우선매수권을 행사해 캠코로부터 자산을 재매입 해오는 방식으로, 일종의 ‘기업 재활’ 프로그램이다.

2015년부터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지난 6일 ‘코스모화학’이 신청 3년 4개월 만에 캠코와 자산 재매입 계약 체결에 성공하며 첫 열매를 맺었다.

김창수 코스모화학 전무는 “어려운 시기에 구원투수로 등장한 캠코 덕분에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고 신사업 추진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감사의 뜻을 표한 바 있다.

기업들이 프로그램에 지원 신청하면 캠코는 심사를 시작한다. 해당 기업의 자구계획 등을 기준으로 회계법인의 경영정상화 평가 등을 근거로 경영‧회계‧부동산 관련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지원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캠코 관계자는 프로그램에 신청할 수 있는 대상 기업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모든 업종의 기업이 지원 신청 가능하지만 향락산업 또는 부동산 임대업 등은 지원이 불가하다”며 “업종을 기준으로 우선 고려 대상을 두고 있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지원기업은 자산매각 후 최대 10년 간 임대차기간을 가진다.

캠코 관계자는 “기업은 우선 최초 5년간 임대차계약 체결 후 이후에는 캠코와 협의 후 최대 5년 범위 내에서 연장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프로그램이 해당 기업이 경영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기회와 시간을 벌어주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통해 자산을 매각하게 된 기업들은 캠코에 임대료를 납부하게 된다. 캠코 관계자는 “임대료는 임대차기간 1~3년차 동안은 동일하게 유지되고, 4년차 이후에는 매년 캠코의 공사채 조달금리 등을 고려해 재산정한다”며 “공사채 조달금리는 시장의 기준금리 변동 등의 영향을 받음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여부는 유동적”이라고 전했다.

지원 기업 대상 선정 후에는 캠코가 수시로 해당 기업들의 경영정상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캠코 관계자는 “캠코는 지원기업과 수시로 소통하면서 경영정상화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기업의 운영자금 부족 등 애로(error)사항에 대해 추가 지원 가능여부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임대차계약에 따른 임대차보증금을 지원기업의 운영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급하고 이행보증보험 가입으로 대체한 사례 ▲지난해 공사가 회생기업의 정상화 지원을 위해 시작한 DIP금융(Debtor In Possession. 통상 회생절차 기업에 대해 운전자금 등 신규자금을 지원하는 금융)지원과 연계해 추가 자금을 지급한 사례 등이 있다는 설명이다.

만일 지원 대상 기업이 우선매수권 행사를 최종적으로 포기하는 경우 공사는 해당 자산에 대한 시장매각을 추진한다. 캠코 관계자는 “현재 시점에서는 임대차기간 종결을 앞두고 회생 실패로 우선매수권 행사가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되는 기업은 없다”고 말했다.

캠코는 이 프로그램의 규모를 올해부터 확대해나가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캠코 관계자는 “지난 2015년 프로그램 개시 이후 지속적인 제도 보완 및 홍보를 통해, 2017년 이후 비교적 안정적인 지원 실적을 거둠에 따라 (올해)지원 목표액을 상향했다”며 “프로그램 지원 금액 규모를 종전 1500억 원에서 올해 2000억 원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목표 기업수는 별도로 설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덧붙여 “최근 국내 경제성장의 둔화와 미·중 및 한·일간 무역갈등 등에 따른 불확실한 경영환경의 지속으로 일시적 경영 애로(error) 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 필요성이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NSP통신 유정상 기자 yootop@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