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NSP통신) 김빛나 기자 = 국내 금융기관의 복원력이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장기화에 따른 위험을 경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2020년 6월)’에 따르면 코로나19 전개양상에 따라 금융안정지수는 2월부터 빠르게 상승해 4월(22.3) 위기단계에 이르렀다가 하락했으나 주의단계(8)를 상당폭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안정지수는 금융안정 상황을 나타내는 금융‧실물 6개 부문(은행‧금융시장‧대외‧실물경제‧가계‧기업)의 20개 월별 지표를 표준화해 산출한 지수다.
최대 안정 0에서 최대 불안정 100으로 표시하며 8 미만 정상, 8~22 주의, 22 이상은 위기 단계로 구분한다.
금융안정 상황을 부문별로 보면 신용시장은 가계의 지속적인 대출수요 증가, 업활 부진에 따른 기업의 자금확보 노력 등으로 민간신용이 큰 폭 확대됐고 명목GDP 성장률이 하락해 명목DGP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크게 높아졌다.
가계신용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확대되고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낮아지며 채무상환 부담이 늘어났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아직까지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비은행금융기관에서 일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신용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업황 악화 등으로 자금수요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금융기관의 적극적인 신용공급으로 증가세가 확대됐다.
또한 자금조달 여건 개선에도 불구하고 향후 경기회복이 지연될 경우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신용‧유동성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금융기관의 경우 일반은행 경영건전성은 대체로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수익성은 금리 하락에 따른 순이자마진 축소 등으로 저하됐다.
비은행금융기관은 자산 성장세가 지속되며 자산건전성도 대체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했으나 수익성은 대부분의 업권에서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금융기관 경영실적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향후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수익성이 추가적으로 악화되고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증가한 대출의 잠재리스크가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시스템의 복원력, 즉 대내외 충격을 감내하는 능력은 코로나19 확산 대응과정에서 금융기관의 자본적정성, 유동성 비율이 다소 하락했으나 여전히 규제기준을 큰 폭 상회하는 등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다.
다만 코로나19의 영향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경우 신용‧시장 손실이 커지면서 국내 금융기관의 복원력이 저하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규일 부총재보는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 미중 갈등 고조 등 불안요인이 잠재해 높은 수준의 경계감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협력해 신용경계감 강화, 유동성 경색 심화 등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중장기 시계에서 시스템 안정 유지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좌홍 금융안정국장은 “불확실성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가계와 기업 채무상환능력 저하가 불가피하겠지만 양호한 복원력 감안할 때 금융시스템은 안정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정책당국은 금융기관 대규모 손실에 따른 금융중개기능 저하, 금융실물간 악순환의 현재화 등에 대비해 주요 리스크 요인들이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되지 않도록 선제적인 대응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거시건전성정책 수행의 일환으로 금융시스템에 내재된 위험요인을 분석‧평가해 연 2회 이상 금융안정보고서를 작성하고 국회에 제출‧보고하고 있다.
NSP통신 김빛나 기자 shine@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