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NSP통신) 조이호 기자 = 강원 강릉시(시장 김홍규)가 돌봄의 영역을 넓히고 복지 기반을 확충하며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복지 행정을 강화하고 있다.
어르신과 장애인을 위한 생활 밀착형 정책을 중심에 두고 예방부터 자립까지 이어지는 복지 체계를 구현해 나가는 흐름이다.
시는 먼저 돌봄서비스 전반을 확대해 지역 내 돌봄 공백을 줄이는 데 힘을 모으고 있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 대상은 지난해보다 400명 이상 늘어난 3075명으로 확대됐고, 고립 우려가 있는 어르신을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체계가 강화됐다.
고령 독거노인과 중증장애인 1622명에게는 센서 기반 안전장비를 설치해 위급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병원동행서비스 역시 시행 1년 만에 이용 인원이 2.5배 늘며 가족의 돌봄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장애인 돌봄도 한층 강화됐다. 기존 돌봄 체계에서 지원받기 어려웠던 최중증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지난 6월부터 1대1 맞춤 주간 돌봄이 도입되면서 취약계층의 돌봄 접근성이 실질적으로 개선됐다. 이러한 조치들은 개인의 상황과 욕구를 반영한 촘촘한 지원체계가 지역 내 돌봄의 질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로 이어지고 있다.
복지 인프라 확충도 본격화되고 있다. 전체 인구 중 노인 비율이 27%를 넘는 초고령사회인 강릉시는 올해 복지시설 두 곳을 잇달아 문 열었다. 7월 개관한 강릉남부노인종합복지관은 지하 2층·지상 4층 규모로 하루 10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어르신들에게 식사 제공과 여가 프로그램, 문화 강좌 등을 지원하는 남부권역 중심시설로 자리 잡았다.
11월 개원한 강릉시립노인요양센터 역시 치매국가책임제에 맞춰 건립된 시설로, 치매 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을 덜고 고령친화도시로서 책임성을 강화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자립 기반을 넓히는 정책도 병행되고 있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지난해보다 412명이 늘어난 7455명 규모로 확대됐고, 장애인일자리 역시 131명으로 21% 증가했다.
특히 단순 공익활동 중심에서 벗어나 어르신의 경험을 살린 참여형 일자리와 장애 정도·유형에 맞춘 맞춤형 일자리 발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속 가능한 일자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일자리 설계가 병행되고 있다.
김홍규 시장은 “시민 한 분 한 분이 존중받는 복지도시를 목표로 돌봄과 자립이 선순환하는 체계를 만들겠다”며 “어르신과 장애인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현장에서 체감하는 복지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