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NSP통신) 김대원 기자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와 함께 ‘수요기반 양자기술 실증 및 컨설팅’ 사업 통합보고회를 지난 26일 경기도 미래모빌리티센터에서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총 2년에 걸쳐 국비 55억, 지방비 16억 5천만원이 지원되며 지자체와 함께 지역 주력산업에 양자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혁신 사례를 창출하고 그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산업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해 국내 양자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지난 3~4월 공모를 통해 NIA는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전북특별자치도 등 4개 지자체가 제안한 △이차전지 △모빌리티 △바이오 △에너지 분야에 양자기술을 활용한 4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
보고회에서는 각 과제의 양자기술 적용 필요성 및 개선효과와 양자기술 적용 제품의 활용·확산 전략 등이 공유됐다.
부산광역시는 최근 인명과 재산 피해를 발생시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됐던 배터리 폭발 사고를 양자 자기장 센서를 활용해 출고 전에 배터리의 이상 또는 불량 유무를 진단하여 예방할 수 있는 이차전지 분야에서의 기술 실증을, 인천광역시는 양자 바이오 센서를 활용해 혈액 속에 있는 암세포로부터 생성된 특정 DNA 등을 정밀하게 검출함으로써 암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 분야의 실증 계획을 발표했다.
경기도는 판교 지역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버스 ‘판타G’와 군용 드론에 1:N QKD(양자암호키분배) 기술을 적용하여 주행정보를 양자암호로 안전하게 송수신하는 모빌리티 분야의 활용 실증을, 전북특별자치도는 형광등이나 외부 압력을 받으면 광전자를 방출하는 양자역학적 특성을 가진 양자점(Quantum Dot)을 에너지 하베스터로 활용해 전기를 얻는 에너지 분야의 기술 실증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서 NIA는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 전북특별자치도와 함께 투명하고 공정한 사업 추진을 다짐하는 청렴서약식을 진행했다.
또한 ‘상생협력 및 청렴실천’ 서약을 통해 규정을 준수하고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위해 상호 신뢰와 협력을 약속했다.
NIA 황종성 원장은 “이번 통합보고회는 양자기술 산업화의 실질적 협력 모델을 보여주는 뜻깊은 자리"라며 “민관협력을 강화하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양자산업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