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그래프속이야기

李 정부 대책 주택가격 상승폭, 文·尹 정부 대책보다 제한적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5-09-25 11:38 KRX8 2
#주택가격 #부동산대책 #이재명 #가계대출 #강남3구

文·尹 정부 대책 발표 후 주택가격 상승률 0.03%
李 정부 대책 발표 후 주택가격 상승률 0.1%
한은 “시장 불안 확산시 추가 대책”

NSP통신- (그래프 = 한국은행)
(그래프 = 한국은행)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이재명 정부의 6·27, 9·7 대책이 과거 정부의 대책보다 주택가격 상승폭 둔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오히려 강남3구 등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는 주택가격 상승폭이 높아졌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한은은 “수도권 주택시장은 6·27 대책 발표 직전에 비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축소되고 거래량도 줄어들었으나 가격 상승폭 둔화는 과거 대책에 비해 제한적인 모습”이라고 밝혔다.

장정수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장은 “최근 부동산 가계부채를 관리하고 주택공급을 관리하는 대책이 발표됐는데 이는 과거 대책에 비해 기본적으로 주택거래량은 과거에 비해 굉장히 둔화됐지만 주택 가격 상승폭 둔화 정도는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G03-9894841702

서울아파트가격 상승폭은 지난 6월 1.4%에서 7월 1.1%로 다소 둔화됐고 아파트 거래량도 6월 1만2131건에서 7월 4362건으로 64% 큰 폭 축소됐다.

다만 6·27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의 흐름을 과거 주요 대책 발표 시기와 비교해보면 거래량이 크게 위축됐으나 가격 상승폭의 둔화 정도는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과거 2017년 이후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2017년 8월 22일), ‘주택시장 안정 대책’(2018.년 9월 13일), ‘주택 시장 안정화방안’(2019년 12월 16일),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관리방안’(2020년 6월 17일), ‘2024년 하반기 가계부채 관리방안’(2024년 8월 21일) 등의 대책 발표 후 10주 경과 시점의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은 평균 0.03%까지 하락했으나 이번에는 여전히 0.1%에 근접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 9·27 대책 이후 자치구별 아파트 가격 변동을 서울의 평균 가격상승폭이 유사한 수준을 보였던 5월 둘째주 등의 시기와 비교해 보면 강남3구 및 마포·용산·성동구뿐 아니라 노원·도봉·강북·금천·관악·구로 등의 상승률도 높아졌다.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도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서울지역에 대한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주택가격전망CSI는 7월 들어 모두 큰 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기준치(100)를 상회하고 있다. 특히 주택가격전망CSI는 8월 이후 상승하는 등 주택가격에 대한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해 장 국장은 “정부와 한국은행은 부동산 시장이나 가계부채에 있어서 안정을 위해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며 “추가적인 시장의 불안이 확산되면 추가 대책을 통해 시장을 안정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