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NSP통신) 조이호 기자 =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이 인천시의 공동분담안 미제출로 발목 잡히고 있는 모양새다. 김포시는 이미 대광위(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건폐장 부지 조성비용을 제출했지만 인천시는 여전히 자료를 내지 않아 사업 경제성 보완 절차가 진척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취재를 종합해 보면 김포시는 김포한강2콤팩트시티의 교통대책이자 김포골드라인의 혼잡률을 낮출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인데다, 멈춰있던 5호선의 논의를 부활시킨 장본인인 만큼 적극적인 입장이다. 김포교통 현안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신속예타로 진행됐고 발표를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의 관건은 빠른 보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김병수 시장은 물밑에서 서울시와의 조율에 적극 나서며 실질적인 방안을 타진해 보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인천시는 지난 6월 인천1호선 검단연장선 개통으로 검단에서 서울역까지 38분 만에 닿는 노선을 확보했다. 사실상 검단신도시 광역교통대책을 완성한 셈이어서 5호선 필요성이 낮아졌다는 평가 속에 분담안 제출에도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서부권광역급행철도와의 구간 중복을 이유로 ‘투자 중복’을 거론하지만 실상 김포한강2콤팩트시티는 서광급이 아닌 5호선에만 반영되는 것으로 김포시는 GTX-D가 장기역 단일 정차에 불과한 반면 5호선은 김포 전역을 촘촘히 연결하는 생활권 철도로서 대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김포를 지역구로 둔 경기도의원 A씨는 최근 한 방송에서 “수익성·편익비 문제, 인천시와의 사전 협의 부진, 건폐장 이전 문제 등에 대해 김포시가 명확한 결정을 내리지 못해 사업이 늦어지고 있다”고 발언했다. 그는 김병수 시장의 ‘정무적 판단만 남았다’는 언급에 대해서도 “철도망 기본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정작 인천시의 미온적 태도가 핵심 지연 요인인데도, 정치권이 이를 외면한 채 김포시에만 책임을 돌리는 것은 시민 현실과 동떨어진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김포시 관계자 역시 “지금은 책임을 따질 때가 아니라 관계기관이 한목소리로 나서야 할 때”라며 “정치 공방은 사업 지연만 부추길 뿐”이라고 꼬집었다.
김포원도심총연합회가 지난달 초 김포시민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민 여론조사에서는 지연 원인으로 ‘중앙정부 의지 부족’과 ‘정치권 불협치’가 지목됐다. 시민들은 현 정부가 과거 예타 면제를 당론으로 채택했던 만큼, 지금이라도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동시에 민주당인 김포 국회의원들이 김포시에 인천과의 협의만 재촉할 뿐 실질적인 움직임이 없는 것이 진짜 문제가 아니냐는 시민 여론도 상당하다.
김포와 인천 정가의 한 관계자는 “한 지자체라도 강 건너 불구경인 입장에서는 진전이 이뤄질 수 없다. 놓여진 여건이 다른 만큼 입장차가 다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정치적 해소만이 5호선 문제를 가장 빠르게 풀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민 불편을 외면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