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광명시, ‘자치분권 일상화 시대’ 도약…시민과 함께 지속가능한 발전 이어간다

NSP통신, 서국현 기자, 2025-05-27 18:36 KRX7
#광명시 #자치분권일상화시대 #하태화 #행복마을관리소 #자치분권대학

자치분권과 신설부터 시민 참여 플랫폼 확대까지…실질적 시민 참여 기반 구축

NSP통신-하태화 자치행정국장이 27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정책브리핑에서 광명시 자치분권의 결실과 미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 광명시)
하태화 자치행정국장이 27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정책브리핑에서 ‘광명시 자치분권의 결실과 미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 광명시)

(경기=NSP통신) 서국현 기자 = 경기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7년간 시민과 함께 쌓아온 자치분권 기반을 발판으로 자치분권 일상화를 향한 도약을 시작한다.

시는 27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시민과의 동행으로 일군 자치분권의 결실과 미래’를 주제로 정책브리핑을 열었다.

이날 하태화 자치행정국장은 조직 정비, 시민 참여 플랫폼 확대 등 실질적 시민 참여 기반 구축 성과를 설명하며 ‘시민 주도의 지속가능한 광명’을 비전으로 2027년까지 자치분권의 일상화를 목표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G03-9894841702

하태화 국장은 “시민은 단순한 수혜자가 아니라 정책의 주체”라며 “그간 쌓아온 기반과 역량을 바탕으로 시민이 정책의 모든 과정에 참여하는 일상 속 민주주의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직 신설부터 주민자치회 전면 확대 등 제도 마련까지…실질적 시민 참여 기초 마련

광명시가 만들어온 7년 자치분권 성과의 기초는 조직 정비와 제도 기반 마련이었다.

시는 자치분권을 시정의 미래가치로 삼고 2018년 자치분권과를 신설했으며 지난 2020년에는 마을자치센터를 개소해 마을 주민 주도의 소규모 공동체 활동 지원에 나섰다.

이어 2020년 7월에는 행복마을관리소를 설치하고 2023년에는 공익활동지원센터를 만들어 시민이 제안하는 마을 가꾸기와 공익활동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왔다.

제도 기반 구축도 본격화했다. 2018년 민관협치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고 2019년 제1차 자치분권 기본계획을 수립해 수평적 협력 구조를 제도화했다. 주민자치회 전동 확대, 중간지원조직 운영, 협치 토론 문화 정착 등도 함께 추진되며 자치 구조의 틀을 갖췄다.

특히 2020년 관내 18개 동 주민자치위원회를 주민자치회로 전환한 것은 실질적인 시민 참여 시스템을 체계화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됐다. 지역 현안과 마을 의제를 주민이 직접 논의하고 결정·실행함으로써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동별 주민자치회는 매년 주민세 마을사업을 시행하는 등 마을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모든 동에서 주민세 마을사업을 시행하는 것은 경기도 최초이다.

또한 평생학습 등 시 정책과 연계한 마을 의제를 발굴해 경기도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2회 연속 수상하는 쾌거도 이뤘다.

◆시민 주도 정책 실현 위한 자치 역량 강화

광명시는 시민의 실질적인 참여와 권한 강화를 위해 시민 자치 역량 향상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자치분권대학’ ‘주민자치 민주시민교육’ ‘공동체 활성화 교육’을 활발히 운영 중이다.

자치분권대학은 매년 가을 학기에 운영되며 자치분권에 대한 이론과 실무 교육을 제공하는 광명의 대표적인 자치역량 강화 과정이다.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시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수강할 수 있도록 했다.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오프라인 183명, 온라인 1699명의 시민이 수강했다.

주민자치위원을 대상으로 한 ‘주민자치 민주시민교육’도 운영하고 있다. 민주적 의사소통 방법과 참여 역량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어 주민자치회가 더욱 원활하고 협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공동체 예비학교’를 운영해 공동체 문제 해결 활동에 참여하는 주민들에게 맞춤형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민이 직접 공론장을 기획하고 정책을 연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역조사 방법론’ ‘시민공론장 운영법’ ‘시민의 작은연구 기획법’ 등 실천 중심 역량 강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협치의 태동과 역사, 시민 참여 사례를 정리한 ‘협치백서’, 주민이 주인이라는 자치의 본질을 담은 ‘주민자치의 이해’ 등 다양한 교육 콘텐츠도 개발해 시민의 학습과 실천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책 결정과 실행은 시민이 직접…다양한 시민 참여 플랫폼 마련

광명시는 잘 갖춰진 제도와 시민의 역량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정책 결정과 실행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민주주의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우선 동별 주민자치회는 주민들이 직접 지역의 문제를 논의하고 결정하는 ‘주민총회’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주민총회에서 결정되는 주민세 마을사업은 2020년 24개에서 시작해 해마다 다양한 경험을 축적해 왔으며, 올해는 59개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지방자치 현안을 함께 논의하는 ‘광명 자치분권 포럼’도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다. 포럼은 시민과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지역의 우수정책을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며 정책 실행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시민공론장 ‘광명시민 1번가’를 운영해 시민이 자유롭게 토론하며 해결책을 찾도록 지원하고 있다. 시 누리집에서 시민 100명 이상의 청구로 공론장이 열린다. 실제로 ‘광명시민 평생학습지원금 지급 방안’과 ‘가로수 관리 방안’은 시민공론장을 통해 제안된 후 시정에 반영된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 4월에는 광명시 공익활동지원센터의 공론화 과정을 거쳐 선정된 10대 정책 의제가 발표되며 지역사회 실천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시민 참여의 대표 사례인 ‘500인 원탁토론회’는 주민참여예산제와 연계해 시민이 직접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 실질적인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일상 속 숨 쉬는 민주주의 실현…자치분권 일상화 위한 4대 전략 추진

광명시는 ‘시민 주도의 지속가능한 광명’을 비전으로 2027년까지 자치분권 일상화를 목표로 ▲자치분권 선도도시 브랜딩 ▲정책 전 과정 시민 참여 확대 ▲열린 주민자치로 공동체 회복 ▲시민 협력 숙의민주주의 완성 등 4대 추진 전략을 가동한다.

우선 자치분권 선도 도시로서 브랜딩할 계획이다. 광명만의 특성과 경험을 반영한 ‘제3차 자치분권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며 향후 3개년(2026~2028년) 동안 광명형 자치분권이 나아갈 방향과 추진 과제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광명시 자치분권의 발자취를 담은 정책 책자를 발간해 성과를 시민과 공유하고 정책 개선과 확산 기반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청소년 대상 민주시민 교육도 실시해 미래 세대의 시민 역량 강화에도 힘쓸 방침이다.

또한 정책 결정·집행·평가의 모든 과정에 시민 참여를 강화한다. 부서별 협치사업 평가 제도를 도입해 각 사업 단계별 시민 참여율을 높이고 행정 전반에 시민 협치를 제도화할 계획이다.

오는 하반기에는 자치분권 시민 대토론회를 열어 자치분권 기본계획 실행력 확보와 시민 참여 방안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주민자치의 기본이 되는 공동체 회복을 위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나선다. 현재 연 1회 실시 중인 주민총회를 2027년까지 상설화하는 것을 목표로, 올해부터는 주민들의 참여율을 높이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후에는 자치 관련 법규 정비 등 제도적 기반도 함께 마련해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같은 해 상반기 모든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통합형 공동체 프로그램도 개발해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시민과 협력하는 숙의민주주의 완성을 위해 시민이나 부서가 제안한 지역 현안을 협치 의제로 선정하고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의제추진단을 중심으로 해결해 나갈 예정이다.

2026년에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민 의견 반영이 필요한 부서의 수요를 파악해 공론장을 적극 개최하고 소규모 공론장도 수시로 운영·지원하는 등 시민 공론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광명시는 지속적으로 시민이 정책의 주체가 되는 참여 기반을 강화해 시민과 함께 경제·사회·환경 전반의 조화로운 발전을 이루며 모두가 함께 누리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어갈 방침이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