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권향엽 의원, ‘전세피해지원센터 설치법’ 대표 발의

NSP통신, 김성철 기자, 2025-04-03 13:50 KRX7
#권향엽국회의원 #전세피해지원센터 #전세피해지원센터설치법 #주거안정 #대표발의

모든 광역시도에 전세피해지원센터 설치하는 ‘전세사기피해자법’ 개정안 마련
오는 5월 31일 유효기간 만료되는 특별법, 2년 연장하도록 개정

(전남=NSP통신) 김성철 기자 = 권향엽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순천·광양·곡성·구례을)은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전세피해지원센터를 의무적으로 설치‧운영하도록 하는 ‘전세피해지원센터 설치법’(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국가·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지방공사 등은 전세사기피해자(이하 피해자)에 대한 법률상담 및 금융·주거지원의 연계 등을 수행하기 위해 전세피해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지방자치단체가 설치·운영하고 있는 전세피해지원센터는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전, 대구 등 6곳에 불과해 그 외 지역의 피해자는 지원센터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G03-9894841702

전남의 경우, 올해부터 전세사기 피해 및 지원금 신청 업무가 각 시·군에서 전남도 산하 전남주거복지센터로 이관돼 피해자들이 서류를 재제출하는 등 피해자들이 행정적 불편을 겪은 바 있다.

한편 현행법은 2023년에 2년간 한시법으로 제정돼 2025년 5월 31일에 유효기간이 만료될 예정인데,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전세사기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위해서는 유효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도 및 특별자치도 등 전국 17개 광역시도는 전세피해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여야 한다고 규정해 지원센터 미설치 지역의 피해자를 구제하고 지역 간 형평성을 제고하는 한편 현행법의 유효기간을 2년 연장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전세사기피해자를 지원하고 주거안정을 도모하려는 것이 법안의 주요 골자다.

권향엽 의원은 “전남 전세사기 피해 접수 건 수는 총 979건이다”며 “피해액은 무려 900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도내 피해자 중 46.7%가 광양에, 22.1%가 순천에 거주하는 등 피해자의 대부분이 동부권에 집중돼 있다”며 “전세사기 피해지원을 위한 동부권 컨트롤타워 설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