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국립암센터 명승권 교수팀, “휴대전화 장시간 사용·종양 발생 위험성 높여”

NSP통신, 강은태 기자, 2021-02-16 16:15 KRD7
#국립암센터 #명승권 #휴대전화 #종양 발생 위험성 #뇌종양
NSP통신-(왼쪽부터)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명승권 대학원장, 서울대학교 예방의학과 최윤정 박사,서울대학교 예방의학과 홍윤철 교수,UC버클리 보건대학원 가족지역사회건강센터 조엘 모스코위츠 센터장 (국립암센터)
(왼쪽부터)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명승권 대학원장, 서울대학교 예방의학과 최윤정 박사,서울대학교 예방의학과 홍윤철 교수,UC버클리 보건대학원 가족지역사회건강센터 조엘 모스코위츠 센터장 (국립암센터)

(서울=NSP통신) 강은태 기자 = 휴대전화를 오래 사용하면 뇌종양을 비롯한 악성·양성종양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총장 서홍관) 대학원장 명승권 교수(의학박사,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홍윤철 교수팀(제1저자 최윤정 의학박사)과 UC버클리 보건대학원 가족지역사회건강센터(Center for Family and Community Health) 조엘 모스코위츠(Joel Moskowitz) 센터장과 공동으로 1999년부터 2015년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46편의 환자대조군연구를 메타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주요 의학데이터베이스인 펍메드(PubMed)와 엠베이스(EMBASE)에서 문헌검색을 통해 46편의 환자대조군 연구 결과를 종합해 메타 분석했다.

G03-9894841702

그 결과 휴대전화를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사람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사람의 종양 발생 관련성을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주요 연구그룹별로 세부적인 메타분석을 한 결과 하델 연구팀(이 주제에 대해 가장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했음)에서는 휴대전화 사용이 종양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온 반면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주관한 다국가 인터폰 연구(INTERPHONE study)에서는 반대로 위험성을 낮추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또 연구팀과 무관하게 사용 시간을 기준으로 세부 분석한 결과 장시간 사용 시(누적사용시간 1000시간 이상) 종양 발생 위험이 커지는 것(교차비 1.60, 95% 신뢰구간 1.12-2.30)으로 나타났다.

명승권 교수는 “이번 연구는 휴대전화를 사용할 때 노출되는 고주파 전자기장(주파수 800-2000 메가헤르츠(MHz))이 암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는 일부 실험실 연구와 동물실험 연구결과를 뒷받침 한다”고 말했다.

이어 “46편 연구를 모두 합쳤을 때는 휴대전화 사용과 종양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없었지만 연구자 그룹별 및 연구의 질적 수준별로 세부 분석을 시행했을 때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며 “1000시간 이상 휴대전화를 사용한 경우(10년간 사용한 것으로 환산하면 매월 약 500분 내외 사용하는 경우), 종양의 위험성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교차비 1.60, 95% 신뢰구간 1.12-2.30)”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를 주도한 명승권 교수는 휴대전화 사용이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메타분석 결과를 2009년 종양학 분야 최고 학술지 중 하나인 임상종양학저널(Journal of Clinical Oncology)에 발표했다.

이후 2011년에는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세계 각국의 전문가들이 모여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기파를 2B군 발암가능물질로 분류했다. 이번 연구는 그 후 10년 동안 발표된 개별연구를 포함해 메타분석 결과를 업데이트했다.

NSP통신 강은태 기자 keepwatch@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