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DIP통신] 전용모 기자 = 부산시가 부도로 영업이 중단된 황령산 스키돔에 대해 정상화 움직임을 보이자 부산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방치된 스키돔을 정상화 하기위해 부산시가 범시민 대책위를 구성하고 지난 25일 공청회를 개최했다.
그런데 정상화 방안으로 내놓은 대책이 19회에 걸친 공매에도 불구하고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아 18만여평의 잔여부지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자연훼손을 최소화하여 개발방향을 제시한다고 하지만 잔여부지마저 개발한다면 황령산을 토막내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지적이다.
부산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김희욱·문현병·강동규·정명숙)은 “황령산은 부산시의 무분별한 허가와 허술한 행정 그리고 인공 눈썰매장으로 한 몫 챙기려 했던 장사치들로 초록 살갗이 벗겨지고 허리가 잘려나갔다. 황령산 스키돔은 말 그대로 파괴형 개발사업의 전형인 것”이라고 이같이 주장했다.
또 “더 이상 부산지역의 시민사회는 시민의 공공자산을 팔아서 개발업자의 배를 채우는 뻔뻔한 부산시의 행정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개발업자 배만 불리는 황령산스키돔 재개발의 철회를 엄중히 경고한다. 이런 경고에도 불구하고 황령상 스키돔 재개발을 강행한다면 모든 방법을 강구해 저지할 것을 천명하는 바이다”라고 강조했다.
이 단체는 “황령산이라는 시민의 자연자산을 팔아서 업자의 막대한 개발이익을 보장하는 파렴치한 난개발사업을 당장 중단하고, 황령산을 부산시민의 생태공간으로 복원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스키돔은 지난 1992년 공사를 시작해 2007년 8월 준공됐으나 2008년 6월 사업시행자의 부도로 영업이 중단, 그간 말 많고 탈 많은 시설이 되고 있다.
부산환경연합을 비롯한 부산시민사회단체는 1990년대부터 ‘황령산 살리기 운동’으로 개발시도에 맞서 황령산을 지키기 위한 활동을 지속해왔다.
jym1962@dipts.com
<저작권자ⓒ 소비자가 보는 경제뉴스 DI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