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대선TV토론

기후위기 대응, 이재명 “재생에너지 강화”·김문수 “산업경쟁력 고려해야”

NSP통신, 강수인 기자, 2025-05-23 23:47 KRX2
#TV토론 #김문수 #이재명 #탈원전 #전라도

이재명 “전남 재생에너지 송전망 신속 구축해야”
김문수 “이재명 후보, 원자력 발전소 가 본 적도 없어”
이준석 “이재명 후보, 쌍방울 강림 관련 사적 이익 의심”

NSP통신-23일 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스튜디오에 서 있다. (사진 = 더불어민주당 공보국)
23일 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스튜디오에 서 있다. (사진 = 더불어민주당 공보국)

(서울=NSP통신) 강수인 기자 = 기후위기 대응방안을 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입장이 충돌했다. 이재명 후보는 보다 재생에너지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김문수·이준석 후보는 산업경쟁력을 고려해 현실적인 기후정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23일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기후위기 대응방안’에 대한 주제로 토론이 열렸다.

이재명 후보는 “세계 전체적인 에너지의 흐름은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넘어가고 있다”며 “그러나 직전 정부가 재생에너지 산업을 탄압하는 바람에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산업은 매우 위축됐다”고 지적했다.

G03-9894841702

이어 “RE100(재생에너지 100% 활용)을 어떻게 대응할지 알 수가 없다”며 “앞으로의 수출을 생각해서라도 대한민국 산업 정책도 재생에너지 산업으로 신속하게 전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소멸의 위기를 겪는 농어촌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즉 태양광, 풍력 발전들을 대대적으로 해야 한다”며 “전라남도 일대에서 재생에너지 송전망이 부족해 추가 발전 허가가 나지 않아 신속하게 송전망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맞서 김문수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생태계가 완전히 무너져 원전 발전을 가스 발전으로 대체하면서 수 십 조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며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장하면서 원전에 대한 필요성은 말하지 않고 있다. 온실가스를 가장 적게 배출하는 에너지가 바로 원자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폭염으로 에어컨 사용이 늘어나고 AI사용으로 전기료가 많이 필요한데 이럴 때 값싸고 안정적이고 깨끗한 원자력을 많이 준비하는 것이 국가 에너지 전략의 핵심”이라며 “이재명 후보가 말씀하셨던 후쿠시마 사태는 원자력발전소 자체가 폭발한 것이 아니라 해일 때문에 누수가 된 것인데 과거 과학 기술이 부진할 때를 예로 들어 원자력의 위험성을 말하는 것은 공상과학영화를 보는 것 같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준석 후보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이재명 후보의 사적 이익 의혹에 대해 언급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가 출마선언 하시고 쌍방울의 지주회사였던 강림이 사업다각화를 한다고 하면서 임시주총을 열고 풍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을 사업목적으로 추가하려고 한다”며 “결국 올해 1월부터 재생에너지 유지보수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강림의 투명경영을 담당하시는 분이 황윤석이라는 분인데 감정평가사로 이재명 후보가 성남시장 시절 부동산 담당했던 분이다”라며 “이런 분의 이름이 같이 나오는 것에 대해 재생에너지 관련 결국 사적 이익을 추구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재생에너지의 한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준석 후보는 “유럽의 북해는 양질의 풍력자원이 있고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를 높여나갈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태풍의 경로상에 남해안 풍력 발전소들이 위치해 있고 태양광 발전 조건 같은 경우에도 타국에 비해 불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재명 후보는 산업에 대한 이해도 없이 이념에 매몰돼 탈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말씀하신다”며 “기업하시는 분들에겐 그저 전기요금이 오르는 것으로밖에 안 들린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