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현대·기아차, 채용 방식 상시공채 전환…“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책”

NSP통신, 정효경 기자, 2019-02-13 14:25 KRD7
#현대차(005380) #기아차 #상시채용 #대기업상시채용 #대기업채용
NSP통신- (현대·기아차)
(현대·기아차)

(서울=NSP통신) 정효경 기자 = 현대차(005380)와 기아차가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신입사원 채용방식을 상시 공개채용으로 바꾼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올해부터 대졸 신입사원 채용을 본사 인사부문이 관리하는 정기 공개채용에서 각 현업부문이 필요한 인재를 직접 선발하는 직무중심의 상시 공개채용 방식으로 전환한다.

현대·기아차는 “상하반기 각 1회씩 연 2회 고정된 시점에 채용하는 기존방식으로는 제조업과 ICT기술이 융복합하는 미래 산업환경에 맞는 융합형 인재를 적기에 확보하기 어렵다”며 이 같이 채용 방식을 전환하게된 계기에 대해 설명했다.

G03-9894841702

이어 “기존 정기공채 방식은 향후 필요인력 규모를 사전에 예상해 정해진 시점에 모든 부문의 신입사원을 일괄 채용하기 때문에 실제로 신입사원이 배치될 시점에는 경영환경 변화로 현재상황에 맞는 인력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인력부족 등의 문제가 불가피했다”고 덧붙였다.

현대·기아차가 실시하는 상시 공개채용은 각 부문별로 인력이 필요한 시점에 연중 상시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원자 입장에서도 관심 있는 직무를 중심으로 필요역량을 쌓으면서 연중 상시로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시 공개채용 방식에서는 각 부문이 특정 직무(분야)의 인력이 필요한 시점에 채용공고에서부터 전형, 선발 등 모든 채용과정을 직접 진행한다. 현업부문이 직접 채용을 진행하기 때문에 기존 정기공채 대비 지원자가 직무에 대한 세부정보와 필요한 역량을 채용공고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현대차와 기아차는 인력채용 외에도 조직변경과 인력관리 등도 각 부문이 자율적으로 실행하고 의사결정을 하도록 해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력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기존 인사부문은 현업부문의 채용·인사업무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강한 실행력을 갖춘 민첩한 조직체계 구축과 일하는 방식의 혁신적인 개선 등 전사 차원의 조직체계와 조직문화 변화에 집중한다.

현대·기아차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ICT기반의 융합기술과 새로운 서비스가 쏟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장환경에서는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가가 조직의 미래를 결정한다”며 “상시공채를 정착시켜 회사와 지원자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말부터 연구개발본부(R&D) 수소전기차와 상용차개발 분야를 시작으로 신입 및 경력사원을 상시 공개채용으로 선발하고 있다. 앞으로 현대차와 기아차의 각 부문별 상시공채는 지속적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NSP통신/NSP TV 정효경 기자, hyok31@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