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1월 셋째 주, 매매가0.08%↓·전세가0.09%↓

NSP통신, 윤민영 기자, 2019-01-25 06:00 KRD7
#한국감정원 #전세 #매매 #아파트 #강남
NSP통신- (한국감정원)
(한국감정원)

(서울=NSP통신) 윤민영 기자 =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이 2019년 1월 셋째 주(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전세가는 각각 0.08%·0.09% 하락했으며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커졌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0.08%=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G03-9894841702

시도별로는 전남(0.04%), 대전(0.04%), 광주(0.03%)등은 상승, 경남(-0.21%), 경북(-0.19%), 울산(-0.17%), 강원(-0.15%), 충북(-0.14%), 서울(-0.11%), 충남(-0.10%)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5→18개) 및 하락 지역(129→138개)은 증가했고 보합 지역(32→20개)은 감소했다.

NSP통신- (한국감정원)
(한국감정원)

▲수도권: -0.07%=서울(-0.11%), 인천(-0.04%), 경기(-0.05%) 모두 하락했다.

▲서울: -0.11%=대출규제, 금리인상, 거래량 감소,전세시장 안정 등의 하방 압력으로 모든 구에서 감소하며 11주 연속 하락세를 탔다.

▲강북권: -0.07%) 종로구는 거래 급감하며 하락 전환되고 마포·성동·용산·노원구는 매물 누적 등으로, 서대문·은평구는 신규입주 영향으로 하락했다.

▲강남권: -0.13%=단지별로 계단식 하락 추세 지속되는 가운데 금천구(-0.03%)는 하락 전환됐고 강남(-0.25%)·서초(-0.16%)·영등포구(-0.13%)는 하락폭이 확대되는 등 감소세가 이어졌다.

▲경기: -0.05%=구리(+0.06%)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다산신도시 진건지구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했지만 성남 분당구(-0.23%)는 대출규제 등으로 매수·매도 관망세 지속되는 가운데 거래 부진과 호가 하락세 등으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지방: -0.09%=5대광역시(-0.04%), 8개도(-0.13%), 세종(-0.05%) 모두 하락했다.

▲세종: -0.05%=매수심리 위축 등으로 거래가 드문 가운데 조치원은 행복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호가 떨어지는 노후아파트를 중심으로 하락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0.09%=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시도별로는 세종(0.56%), 광주(0.04%), 대전(0.03%) 등은 상승한 반면 울산(-0.27%), 경남(-0.21%), 충북(-0.16%) 등은 하락했다.

▲수도권: -0.11%=서울(-0.14%), 인천(-0.10%), 경기(-0.10%) 모두 하락했다.

▲서울: -0.14%=매매 추가 하락을 우려한 시장 참여자들의 전세 전환 및 계절적 수요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수요 증가량 보다 공급 증가량(임대주택 및 신규 입주물량)이 많아 13주 연속 하락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4→21개) 및 하락 지역(115→122개)은 증가했으나 보합 지역(47→33개)은 감소했다.

NSP통신- (한국감정원)
(한국감정원)

▲강북 14개구: -0.06%=신규단지 입주 등의 영향으로 서대문(-0.15%)·마포(-0.11%)·성북(-0.09%)·은평구(-0.06%) 등 보합세인 노원구를 제외한 모든 구에서 하락세가 지속됐다.

▲강남 11개구: -0.21%=지난해 하반기 및 올해 상반기 대규모 신규 입주 영향으로 매물누적 및 호가 하락하며 강동(-0.54%)·강남(-0.33%)·송파구(-0.31%) 등 모든 구에서 하락세를 기록했다.

▲경기: -0.10%=광명(-0.29%)은 일직동 신규단지 입주와 철산동 노후단지 수요 감소 등으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지방: -0.07%=5대광역시(-0.05%)와 8개도(-0.11%)는 하락했으며 세종(+0.56%)은 상승했다.

▲세종: +0.56%=정부부처 추가 이전에 따른 수요 증가로 정부청사가 인접한 도담동과 그간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크지 않았던 고운동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NSP통신/NSP TV 윤민영 기자, min0news@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