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11월 마지막 주, 매매가0.04%↓·전세가0.07%↓

NSP통신, 윤민영 기자, 2018-11-29 14:02 KRD7
#한국감정원 #아파트매매 #아파트전세 #스타필드 #재건축
NSP통신- (한국감정원 제공)
(한국감정원 제공)

(서울=NSP통신) 윤민영 기자 =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 11월 4주(2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결과 매매가(-0.04%)·전세가(- 0.07%) 모두 하락폭이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0.04%=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G03-9894841702

시도별로는 인천(0.09%), 전남(0.07%), 대전(0.07%), 대구(0.06%) 등은 상승, 울산(-0.29%), 경북(-0.18%), 경남(-0.18%), 충북(-0.16%), 강원(-0.14%), 부산(-0.10%), 충남(-0.06%)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1→47개) 및 보합 지역(25→24개)은 감소했고 하락 지역(90→105개)은 증가했다.

NSP통신- (한국감정원 제공)
(한국감정원 제공)

▲서울: -0.05%=9.13대책에 따른 대출 규제, 세제개편 부담과 금리 인상 등 불확실성이 확산 되며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강북권: -0.01%=종로·중·강북구는 저평가단지 위주로 소폭 상승했지만 강남4구 하락에 따른 심리위축으로 매수 문의가 급감하며 성동·광진·동대문·노원·은평구에서 하락 전환됐다.

중랑·성북·도봉구도 지난주 대비 상승에서 보합으로 하락 전환됐다.

▲강남권: -0.07%=재건축 및 그간 급등 단지 위주로 호가 하락 단지 비중이 늘어난 가운데 동남권 모든 구가 하락폭이 확대되고 나머지 구도 보합 내지 하락하며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인천: +0.09%=서구(+0.21%)는 인근 마곡지구 대비 저평가 인식 및 검암역세권 개발사업 발표 등으로 상승했으며 계양구(+0.17%)도 서운일반산업단지 등으로 인구가 유입되며 증가했다.

▲경기: 수원 장안구(+0.36%)는 스타필드 입점 및 신분당선 연장 기대감 등으로 화서역 인근 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며 상승세를 보인 반면 안성(-0.33%)은 신규 입주물량 증가로 기존단지 중심으로 하락세를 지속했다.

▲지방: -0.08%= 5대 광역시(-0.04%)와 8개도(- 0.12%)는 하락했으며 세종(+0.02%)은 상승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0.07%=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19%), 전남(0.04%), 광주(0.02%) 등은 상승한 반면 울산(-0.33%), 충북(-0.19%), 강원(-0.17%)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42→35개) 및 하락 지역(99→98개)은 감소했으며 보합 지역(35→43개)은 증가했다.

NSP통신- (한국감정원 제공)
(한국감정원 제공)

▲수도권: -0.07%=서울(-0.06%)·인천(-0.01%)·경기(-0.09%) 모두 하락했다.

▲서울: -0.06%=일부 지역은 소폭 상승했지만 계절적 비수기, 풍부한 전세공급 등으로 5주 연속 하락했다.

▲강북권: 성동구(+0.04%), 노원구(+0.01%)는 소폭 상승했지만 서대문구(-0.26%)와 용산구(-0.17%)는 신규단지 입주와 노후·재건축단지의 수요 감소 등으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성북구(-0.01%)와 강북구(-0.03%)는 하락 전환되는 등 대다수 지역이 보합 내지 소폭 하락했다.

▲강남권: 양천구(+0.03%)는 학군수요, 구로구(+0.02%)는 역세권 대단지 수요로 소폭 상승했다.

서초구(-0.28%), 강동구(-0.24%), 송파구(-0.14%) 등은 일부 겨울방학 대비 이사수요에도 불구하고 신규 입주단지의 전세공급으로 하락세를 지속했으며 강서·관악구 등은 보합이다.

▲인천 : -0.01%=신규공급이 풍부한 연수구(-0.12%), 중구(-0.33%)는 노후단지 위주로 하락세를 지속했으며 서구(+0.11%), 남동구(+0.03%) 등은 교통 및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 중심으로 상승했다.

▲지방: -0.06%=5대 광역시(-0.05%)와 8개도(-0.10%)는 하락했으며 세종(+1.19%)은 상승했다.

NSP통신/NSP TV 윤민영 기자, min0news@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