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P통신) 이동훈 기자 = 한국토지공사은 지난 34년 여간 국가토지정책의 일선집행기관으로서 쌓아온 경험과 기술력을 담은 ‘녹색도시건설을 위한 한국토지공사 고유기술 100선’을 발간했다.
이 책에는 경제적인 단지조성방법, 시공부문의 질적향상 측면, 시대변화와 함께 고객의 Needs를 반영한 단지모델개발, 효율적 사업관리를 위한 정보화 분야, 신재생에너지 도입 등 녹색도시 건설분야 및 한국형 신도시 건설기법 해외수출 등 신성장 동력 창출를 위한 특화부문 등에 담았다.
토공은 삶의 터전인 도시용지를 271개 사업지구에서 2억7000만㎡ 이상 공급해 전 국민 10가구 중 1.5가구 이상이 토공에서 조성한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60여개의 사업지구에서 3억㎡가 넘는 생산용지를 공급해 1만3000여개 기업을 입주케 했다.
또한 도로(762km), 전철(211km) 등의 도시기반시설 건설에 21조원 이상을 투자하는 등 Land Developer로서의 한국토지공사의 역할은 곧 우리나라의 토지정책 및 부동산 정책 집행의 역사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프로그램, 저작권 등 85건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251건의 가용 신기술을 발굴·지정하는 등 기술혁신 성과를 이뤘고, 고유의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계승·발전시킴으로써 차별화된 기술경쟁력을 갖추어 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요 수록기술로는 탄소배출권 확보등 녹색도시 건설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시범사업, 아제르바이잔등 한국형 신도시 건설기법 해외수출, 인간존중의 Barrier Free 인증기관 지정 및 사업, 택지개발지구내 전통한옥마을조성, 공공시설의 친수환경조성등 복합용도 활용, 택지개발지구내 테마계획수립 등이다.
한국토지공사 이종상 사장은 “그동안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선정된 녹색고유기술 100선이 현업에서 편리하게 활용되고 토공의 기술력을 계승·발전시킴과 동시에 효율적인 국토정책 집행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공헌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신도시내 에너지 절약형 생태주거단지 조성 등으로 우리나라의 녹색성장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며, 한국형 신도시 수출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는 미래 신성장 동력 강화를 위한 기술특화에 전력질주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IP통신, leedh@dipts.com
<저작권자ⓒ 소비자가 보는 경제뉴스 통신사 : DIP통신.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