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경기도, 발달장애인 AI 영상분석 및 컨설팅 사업 착수보고회 개최

NSP통신, 김병관 기자, 2025-02-20 17:47 KRX7
#경기도 #발달장애인 #인공지능영상분석및컨설팅사업 #착수보고회 #변화의중심

발달장애인 돌봄도 AI로…경기도 AI 돌봄, 발달장애인센터 5개로 확대

NSP통신-20일 경기 수원 광교 경기도청사에서 2025년 발달장애인 AI 영상분석 및 컨설팅 사업 착수보고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 = 경기도)
20일 경기 수원 광교 경기도청사에서 2025년 발달장애인 AI 영상분석 및 컨설팅 사업 착수보고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 = 경기도)

(경기=NSP통신) 김병관 기자 = 경기도는 20일 광교 경기도청사에서 ‘2025년 발달장애인 AI(인공지능) 영상분석 및 컨설팅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발달장애인 AI 영상분석 및 컨설팅 사업’은 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돌봄 현장 내 발달장애인의 도전행동(돌발행동)을 자동으로 기록, 통계화하고 행동 중재 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이다.

AI를 활용해 기록된 자녀의 돌봄 정보는 보호자의 휴대전화로 전달되며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자녀의 도전행동 영상도 센터에 전달할 수 있다.

G03-9894841702

기존에는 돌봄교사가 수기로 작성해 온 도전행동 데이터를 AI가 실시간으로 분석·제공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돌봄 환경을 조성하며 가족과 돌봄교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번 보고회에는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을 비롯해 장애인자립지원과 등 경기도 관계자와 사업 수행사 및 사업 대상기관 관계자가 참석해 사업 추진 방향과 주요 내용을 공유했다.

도는 작년 안산 2곳, 의왕 1곳 등 발달장애인센터 3곳에 AI 돌봄 시스템을 설치한 데 이어 올해는 의정부 1곳과 남양주시 1곳에 신규 설치를 지원한다.

신규 센터 2곳에는 CCTV 및 AI 기반 돌봄 시스템이 설치되며 기존 센터는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이 이뤄진다.

또한 행동 중재 전문가의 대면 및 비대면 컨설팅이 제공돼 보호자와 돌봄 종사자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사업에 참여하는 돌봄교사와 보호자는 AI 돌봄 시스템을 활용한 한국ABA행동발달연구소의 행동 중재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원격 플랫폼을 통한 전문가 상담도 가능하다. 아울러 만족도 조사와 효과성 분석을 통해 서비스 개선 방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김유나 행동중재 컨설턴트 소장은 “지난해 AI 돌봄 시스템을 활용한 행동중재 컨설팅 진행 결과 발로 차기와 때리기 등 목표로 했던 도전행동 외에도 심한 공격, 자해 등 다양한 도전행동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급속한 AI 기술 발전으로 돌봄 서비스가 발달장애인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발달장애인의 행동 데이터를 축적하고 AI 돌봄 모델을 고도화해 기존에 지원이 어려웠던 분야까지 AI 돌봄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