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5-7182802122

경북도, 내년 3월부터 빅데이터 분석한 ‘독도접안지수’ 제공

NSP통신, 최성만 기자, 2020-12-15 15:33 KRD7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 #독도접안지수독도접안지수 #빅데이터

경북도청서 독도 접안예측 빅데이터 분석 최종보고회 가져

NSP통신-독도 전경 (경상북도)
독도 전경 (경상북도)

(경북=NSP통신) 최성만 기자 = 내년부터는 민족의 섬 독도가 데이터를 활용한 첨단 분석기법으로 독도방문 활성화에 도움이될 전망이다.

경상북도는 15일 도청 회의실에서 도의회 박판수 독도수호특별위원장,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재단, 한국해양대학교 관계관 등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독도 접안예측 빅데이터 분석’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발한 독도접안지수가 주목 받았으며, 이는 독도 근해 해양·기상 데이터에 대한 인공지능 모델링과 머신러닝학습 등 첨단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적용해 특정 시간 선박의 독도 접안여부를 수치화한 것이다.

G03-9894841702

지금까지는 독도 접안여부를 당일 신호등 형태(빨강, 노랑, 녹색)로 예보해 독도방문객과 조업어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어 왔다.

앞으로는 기상청의 파고부이·방재기상관측·기상정보, 울릉군의 독도항 출입현황·파랑레이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해양관측부이·파랑·유속 등 해수유동 데이터, 해운사의 선박정보 등 활용가능한 모든 해양·기상 데이터를 수집·활용해 빅데이터를 추출한다는 것이다.

NSP통신-운용해양예보시스템(Korea Operation Oceanographic System)은 파랑, 조류, 해일, 수온, 염분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수집, 예측시스템으로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조사원에서 9km, 2km, 300m 격자 해상도 제공중이다. (경상북도)
운용해양예보시스템(Korea Operation Oceanographic System)은 파랑, 조류, 해일, 수온, 염분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수집, 예측시스템으로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조사원에서 9km, 2km, 300m 격자 해상도 제공중이다. (경상북도)

특히 독도는 총면적이 0.188㎢에 불과해 기존 해양수산부 운용 해양예보시스템(KOOS)의 파랑모델 적용 시 큰 오차가 발생하나 60m 파랑모델을 새롭게 구축·적용해 정밀도를 높였다.

경상도는 울릉군과 함께 시범운용기간을 거처 내년 3월부터 울릉군 홈페이지, 울릉알리미앱을 통해 독도접안지수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 당일 예보에서 예보주기(72시간·48시간·24시간 전, 당일)를 늘여 이용자편의를 강화한다.

그리고 더 많은 국민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독도재단, 관련 정부부처 홈페이지에도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지난 3년간 독도 연간 입도 인원은 2018년 22만6천여명, 2019년 23만여명 2020년 7만5천여명이고, 연간 선박 회항율은 2018년 8.7%, 2019년 11%, 2020년 23.7%이다.

경북도는 연간 20만명 이상의 독도 방문객들에게 독도접안에 대한 예측가능한 정보제공 및 조업어민, 여객선사, 해군·해경 등의 안전한 운항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민참여예산사업으로 선정된 독도입도영상시스템 구축과 연계한 영상데이터 확보 및 파고데이터 수집을 위한 파고부이 추가 설치 건의를 통해 독도접안지수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김장호 경상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독도 접안예측 빅데이터 분석은 모든 해양·기상 데이터를 활용한 첨단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독도방문 활성화 및 독도 근해 해양안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실생활과 밀접하고 도민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분야로 빅데이터 분석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NSP통신 최성만 기자 smc7797@nspna.com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G01-2125512898
G02-3602246090